Ⅰ. 보고 목적 및 기본 방향

강남구는 대한민국의 대표적 고소득·고기술 지역으로, 국내 GDP의 6% 이상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본 장은 지역 단위의 산업·투자·고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Glocal 관점에서 경제자립성과 국제경쟁력을 동시에 강화하기 위한 정책 방향을 제시합니다.
궁극적인 목표는 산업혁신·창업·투자유치·MICE 연계 구조를 통합 관리하는 경제 거버넌스 구축입니다.
 

 

구분내용
정책목표글로벌 투자형 지역경제(Glocal Economy) 구축
데이터범위GRDP, 산업·창업·고용·투자유치, MICE, 부동산·소비지표
기대효과지속가능한 성장, 일자리 질 개선, 민관투자 활성화

 

Ⅱ. 분석 개요

강남구의 경제 분석은 ‘산업 기반 → 창업 생태계 → 투자·소비·고용 → 글로벌 연계성’으로 이어지는 구조를 따릅니다.
MarketHub 기반 데이터와 서울시 지역경제 통계, AI 뉴스 감성 데이터가 결합되어, 지역경제의 정량·정성 복합 분석 모델을 구성합니다.
이는 향후 분기별 데이터 업데이트 시 자동 갱신되어, 실시간 정책 판단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분석 항목데이터 출처분석 방법
산업·GRDP서울열린데이터, 통계청, 서울산업진흥원산업집중도(LQ)·산업연관도
고용·창업잡플래닛, K-Startup, 중기부 데이터창업건수·청년고용률 추세
투자·소비KRX·부동산원·관광공사투자금·소비지수·MICE 영향
감성·이슈뉴스·SNS·정책 데이터ΔSentiment·Trust Index

 

Ⅲ. 강남구 거시·산업 동향 요약

최근 3년간 강남구는 기술·콘텐츠·의료·서비스 부문에서 꾸준히 성장하며, 서울시 평균을 상회하는 GRDP 증가율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AI·핀테크·바이오 분야의 집중도가 높아, 국제 협력도시로의 확장 가능성이 큽니다.

부문주요 변화평가
기술산업AI·핀테크 기업 3년간 38% 증가고도성장
서비스·문화산업MICE·콘텐츠 소비지수 1.3배 상승구조적 성장
부동산·투자글로벌 자본 유입 +12%긍정적
고용청년고용률 5%p 상승안정적
스타트업등록기업 수 2,900개 돌파확산기 진입

 

Ⅳ. 지역 산업 포트폴리오 진단 (LQ·고용·가치 분석)

강남구의 산업 구조는 IT·금융·문화콘텐츠·헬스케어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연관효과가 높은 IT·의료서비스 부문이 고용과 부가가치 양 측면에서 중심축 역할을 합니다.

산업LQ고용증감부가가치(지수)해석
IT·핀테크1.42+높음디지털경제 중심
의료·헬스케어1.26+높음메디컬클러스터 확장 중
콘텐츠·MICE1.18++중상관광·소비와 직결
교육·R&D0.95+지식기반 성장
제조·유통0.78-중하공간 효율성 한계

 

Ⅴ. 지역 성장엔진 5대 축

강남구의 지역경제는 ‘디지털 서비스 + 혁신창업 + 고급소비 + 지식산업 + ESG 전환’의 5대 성장축을 중심으로 작동하고 있습니다.
이는 글로벌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도시경제의 핵심 패턴과 일치합니다.

성장축주요 분야정책 연계
① 디지털 산업AI·핀테크·데이터센터Smart Tech Cluster
② 혁신창업스타트업·Scale-up 지원G-Valley·K-Startup
③ 소비·MICE쇼핑·관광·전시산업서울 MICE Week
④ 지식산업교육·컨설팅·디자인Knowledge City
⑤ ESG 전환그린건축·순환경제Urban Green Code

 

Ⅵ. 투자유치·기업유치 전략 (PIPE 모델)

Glocalization 전략에 따라, 강남구는 해외 투자와 국내 민간자본을 동시에 유입하는 복합 유치 모델을 운영해야 합니다.
PIPE(Pipeline–Incentive–Place–Execution) 구조는 이를 위한 실행형 정책틀로 설계됩니다.

단계내용실행방안
Pipeline글로벌 투자대상 300개 기업 선정AI 기반 스코어링
Incentive세제·공간·R&D 패키지 지원민간·서울시 매칭
Place-making스타트업 클러스터·테크캠퍼스 조성테헤란로 축 중심
Execution통합 PMO 운영, 90일 내 인허가행정 효율화

 

Ⅶ. 혁신·창업 생태계 구축

강남구는 전국 최대의 스타트업 밀집 지역으로, 2025년 기준 기업 수 약 2,900개를 돌파했습니다.
창업-투자-글로벌 확장 단계의 연속성 확보가 핵심 과제이며, 민관 협력형 펀드 시스템이 필요합니다.

구분주요 내용
대학·연구소 연계AI·데이터·의료 분야 산학 프로젝트
펀드 구조시·구 매칭 시드펀드 + 민간 시리즈A 브릿지
규제특구IT·모빌리티 실증 허브 (서초-강남 연계)
글로벌 진출CES·VivaTech 등 해외전시 공동부스
Ⅷ. 관광·MICE 연계 지역경제 효과

MICE 산업은 강남구 서비스·소비경제의 핵심 성장축으로, 체류형 관광 및 국제행사 중심의 소비 확장 효과를 유발합니다.

주요 전략KPI
체류형 관광장기숙박·K-컬처 연계체류일수·객단가 상승
MICE 산업사계절 국제행사 캘린더행사 수·참가자 수
한류콘텐츠글로벌 팬덤 연계 IP사업화브랜드 도달률
비즈니스 관광외국기업 연계 패키지투자상담·재방문율
Ⅸ. 인프라·인재·주거대책

경제성장은 인재유입과 정주환경 개선이 병행되어야 합니다.
강남구는 교통·주거·교육 인프라 측면에서 전국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청년·글로벌 인재 정착형 주거정책이 중요합니다.

항목주요 내용
교통GTX·지하철 환승 허브, 국제공항 접근성
주거청년·스타트업 리빙랩형 임대주택
인재리스킬·업스킬 기반 혁신교육센터
복합공간코워킹·창업카페·테크캠퍼스 확충

 

Ⅹ. 재정·민관투자(PPP) 모델

강남구 경제발전 전략은 공공재정과 민간투자를 혼합한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구조를 지향해야 합니다.
공공기금과 민간펀드가 성과연동 방식으로 운영되면, 재정효율성과 사업속도를 동시에 확보할 수 있습니다.

구조설명
지역산업펀드시·구 매칭형, 기술·창업 중심
PPP 방식민자+정책금융+성과보조 혼합
핵심지표고용유발계수, GRDP승수, 세수효과
Ⅺ. 데이터 기반 KPI 대시보드 (AI 자동갱신형)

정책성과를 정기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지표 체계입니다.
분기별로 자동 업데이트되며, AI가 감성·이슈·투자 흐름을 함께 분석합니다.

구분핵심지표데이터원
경제GRDP YoY, 투자액, 수출입통계청·MarketHub
고용고용률, 청년취업률잡플래닛
창업신규법인수, PoC 전환율중기부·K-Startup
관광·MICE체류일수, 행사수서울관광재단
신뢰도Trust Index, ESG ScoreAI 루프 분석

 

Ⅻ. 실행 로드맵 (2025~2028)

단계별 추진계획은 산업·창업·투자·관광·포용경제의 균형적 발전을 목표로 합니다.

단계주요과제성과물
1단계(2025)산업지도 및 투자파이프라인 구축경제데이터맵
2단계(2026)스타트업+MICE 복합구역 조성혁신벨트
3단계(2027)ESG·디지털 클러스터 확장지속성장 생태계
4단계(2028)Glocal 경제자립모델 완성글로벌 연계 보고체계
ⅩⅢ. 결론 및 제언

강남구는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의 경제심장으로, AI·핀테크·콘텐츠 중심의 글로벌 허브 도시로 재정의되고 있습니다.
Glocalization 전략의 핵심은 ‘산업 데이터화 + 글로벌 투자연계 + 시민포용경제’이며,
분기별 AI 루프를 통해 정책성과를 실시간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강남구가 “기술도시에서 포용경제도시로” 발전하는 핵심 단계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