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분석

석유화학·플라스틱(기초유분·중간체·수지)은 유가/납사 가격, 글로벌 재고 사이클, 환경규제의 삼중 변수에 좌우됩니다.
2025~2026년에는 유가 변동성이 완만하나, EU 환경·포장규제 강화, 재활용·바이오 전환 압력이 커질 전망입니다.

 

리스크 요인

2025~2026 전망

영향도(1~5)

시사점

납사/에탄 스프레드점진 개선(수요 회복·재고 정상화)4원가경쟁력 회복, 수출마진 개선
중국 증설/내수대체선택적 과잉 지속4범용수지 가격압박·고부가 전환 필요
EU 환경·포장규제재활용·바이오 콘텐츠 요구 상향5r-수지·바이오 기반 제품 포트폴리오 필수
무역규제(AD·세이프가드)신흥국 중심 확대3HS세부 단위 모니터링·FTA 방어 필요
환율·물류변동성 완만2CIF/FOB 최적화·보험 패키지 재설계
Ⅱ. FTA 활용률 및 기업 실무 통계

범용수지(PE·PP·PVC 등)는 주요 시장에서 협정세율 0% 또는 저율이 보편화되어 관세효과가 큽니다.
다만 REACH·CLP·포장폐기물지침비관세 문서·안전데이터(SDS) 요구가 실무 병목입니다.
중간체(아로마틱스·올레핀·글리콜·글리세롤 등)는 MFN 편차가 남아 있어 FTA·누적 활용의 체감효과가 큽니다.

구분(예시 HS)

FTA/ITA 적용성(경향)

주요 애로요인

관리 포인트

PE/PP (3901/3902)미·EU·ASEAN에서 저율/무관세 빈도 높음REACH 등록, 등급·용도 문서SDS·노출시나리오 최신화
PVC/PS (3904/3903)시장별 MFN 편차가소제·잔류물질 규제CLP 라벨·대체물질 로드맵
PET/엔지니어링수지 (3907 등)기능·용도 따라 분류 상이식품접촉·순환 콘텐츠 증빙r-PET·바이오 기반 인증
아로마틱스·올레핀 (2902 등)MFN 편차 존재정밀분류·성분증빙COA·시험성적서 상시 관리
Ⅲ. 국가별 관세·비관세 비교 매트릭스

미국·EU는 다수 수지에 실효 0%가 보편적이지만, 화학물질 규제·포장·리사이클 의무가 실질 장벽입니다.
신흥국은 MFN이 유효한 품목이 많아 FTA 활용에 따른 가격경쟁력이 크게 차이 납니다.

시장

대표 HS(예)

MFN 관세(범위)

FTA 적용시(경향)

비관세장벽(예)

코멘트

미국3901~3907대체로 저율0% 빈도 높음TSCA·라벨·안전규정기능·첨가제 관리
EU3901~3907, 29020~6%대 혼재0% 다수REACH/CLP·포장·순환경제r-콘텐츠·LCA 요구 증가
중국3901~39076~10%대 품목 존재협정별 차등CCC·표준·산업정책내수대체 압력
ASEAN(베트남)3901~3907~5%RCEP/양자FTA 인하인증·행정절차역내누적 유효

주: 실제 세율·요건은 HS 세부호·첨가제·용도에 따라 상이. 통관 전 실측 확인 권장.

Ⅳ. ESG·CBAM 영향

EU CBAM의 직접 대상은 기본소재 중심이지만, 포장·전력·원재료(알루미늄 등) 간접 연계로 비용 반영 가능성이 큽니다.
동시에 REACH(등록/평가/허가/제한), CLP(분류/표시/포장), 포장·포장폐기물 지침, 재활용·재생원료 콘텐츠 규정이 강화됩니다.

제도

핵심 요구

시행/강화

영향도(1~5)

대응

REACH/CLP등록·SDS·라벨·SVHC 관리상시 갱신5SDS 데이터 레이크·대체물질 전략
포장·순환경제r-콘텐츠·재활용 의무단계적 상향4r-수지·바이오 기반 포트폴리오
CBAM(연계)전력·알루미늄 간접비용2026~3LCA·전력믹스 데이터 구축
식품접촉 규정FCM·NIAS 관리상시3규격시험·공급망 추적성 강화
Ⅴ. 투자·공급망 이전 시나리오

한국: 고부가 엔지니어링 수지·스페셜티(고내열·고투명·바리어) 중심 R&D/생산 허브

미국·EU: 식품접촉·의료·자동차 전장용 고부가 수지 현지화(규제 대응 + 고객 근접성)

ASEAN: 범용수지 컴파운딩·마스터배치·포장재 전환(원가/리드타임 최적화 + RCEP 누적)

중동 연계: 원료 연동형 장기 offtake + 한국 고부가화 라인 결합

Ⅵ. AI 기반 3개월 수출입 예측

공개 통계와 뉴스·정책 감성(α), 글로벌 동조(β), 섹터 심리(λ)를 결합한 AutoLoop 결과,
석유화학·플라스틱은 재고 정상화 + 규제 순응형 제품 믹스로 단기 개선 신호가 포착됩니다.

변수

Δ(%) 또는 지수

해석

ΔExport_now+2.0범용수지·스페셜티 동반 증가
ΔImport_now+1.3중간체/첨가제 수입 보강
ΔPrice_now+0.4수지가격·메이커 프리미엄 반영
ΔSignal_now+0.027긍정 시그널(규제 순응·수요 보합+)
ΔFTAEffect+0.30MFN–FTA 격차 + 누적효과
Forecast_3M+0.473개월 완만한 개선 전망

산식(요약): Forecast_3M = 0.5·ΔSignal + 0.3·ΔFTAEffect + 0.2·ΔPrice

Ⅶ.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분야

제언

실행 주체

기대 효과

REACH/CLP 대응SDS·SVHC·라벨 통합 플랫폼 구축산업부·환경부·협회인증비용·납기 단축
r-수지 확대r-PET·r-PP·바이오 기반 수지 인센티브기재부·환경부프리미엄 수요 확보
FTA+순환경제 연계재활용·LCA 데이터 기반 원산지 우대관세청·통상당국무관세+친환경 프리미엄
디지털무역제품데이터·SDS 국경간 이전 규범화통상교섭본부문서비용 절감·신속 통관
중소기업 지원REACH 등록 공동조달·컨설팅 바우처KOTRA·무역협회실무 역량 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