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보고 목적 및 기본 방향

강남구는 서울의 상징적 관광 거점이자 글로벌 MICE 중심지로, 체류형 관광과 K-콘텐츠 소비가 집중되는 지역입니다.
본 보고서는 관광·문화·소비 데이터를 기반으로 ‘체류시간·소비액·재방문율’을 높이는 구조적 정책 방향을 제시합니다.
목표는 ‘관광+경제+문화 융합 생태계’ 구축을 통한 Glocal 관광도시 전환입니다.
 

 

구분내용
정책목표Glocal 관광도시(체류형 + 콘텐츠형) 구축
분석범위관광객 유형, 소비패턴, 숙박·이동, 콘텐츠·MICE
기대효과체류일수↑, 재방문율↑, 지역소비 확대

 

Ⅱ. 관광·문화 데이터 분석 개요

MarketHub 관광 데이터, 서울관광재단 DB, Google Travel Insight, AI 감성분석 데이터를 통합 활용했습니다.
분석축은 “유입(Access) → 체류(Stay) → 소비(Spend) → 경험(Engage)”의 4단계 루프입니다.

분석 축주요 데이터분석 도구
Access항공·철도·교통관광통계DB
Stay숙박·체류시간OTA·K-Stay
Spend소비·결제패턴신용카드 통계
EngageSNS·리뷰·영상AI Sentiment

 

Ⅲ. 강남구 관광 흐름 요약

서울관광 전체 방문객 중 약 22%가 강남권에 체류, 특히 MICE·K-뷰티·K-푸드·쇼핑 중심 소비 패턴이 뚜렷합니다.
관광객의 평균 체류시간은 1.9일 → 2.6일(3년간 +37%), 외국인 소비액은 **평균 85만 원(전국평균 47만 원)**으로 집계됩니다.

구분주요 수치평가
방문객 비중서울 전체의 22%매우 높음
평균 체류일수2.6일 (+37%)체류형 전환 중
외국인 소비액85만 원고소비권
재방문율61%충성도 높음
SNS 언급량전년 대비 +43%글로벌 노출 증가

 

Ⅳ. 관광객 유형별 세분화 (Persona Mapping)

AI 분석 결과, 강남 방문객은 4대 유형으로 구분됩니다.
이 구분은 향후 맞춤형 관광정책 및 캠페인 설계에 직접 활용됩니다.

유형주요 특징주요 활동소비패턴
한류체험형 (K-Fans)20~30대 여성공연·엔터·쇼핑패션·뷰티
비즈니스형 (MICE)30~50대 직장인세미나·전시숙박·교통
럭셔리형 (Premium)고소득층·해외투자자고급식당·의료의료·부동산
일상체류형 (Urban-Stay)장기체류 외국인코워킹·카페소형소비·정주형

 

Ⅴ. 관광 산업·소비 동향

AI 기반 카드결제 및 검색어 분석 결과, 강남 내 관광소비는 2025년 현재 디지털·체험형 소비로 구조적 전환 중입니다.
외국인은 K-뷰티(24%), 한식·퓨전음식(21%), 엔터·공연(18%) 비중이 높으며,
체류소비 1위 지역은 여전히 강남역–청담–삼성동 벨트입니다.

항목상위 3개소비중
숙박강남역·삼성동·압구정31%
식음료논현·신사·청담26%
쇼핑코엑스·스타필드·가로수길24%
문화·공연K-POP홀·갤러리11%
의료·웰니스압구정·도산대로8%

 

Ⅵ. 관광 콘텐츠 산업화 전략

강남구는 관광과 산업을 결합한 “콘텐츠 기반 체류형 도시”로 진화 중입니다.
AI·미디어·MICE·뷰티·헬스케어가 융합되는 관광산업 구조를 ‘도시형 IP 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주요 내용정책 연계
한류 콘텐츠K-POP·패션·뷰티 산업화한류페스티벌
의료 관광피부·성형·건강검진 연계의료관광센터
디지털 관광AR·AI 가이드 시스템Smart Tourism
전시·컨벤션글로벌 행사 유치 확대MICE City Seoul
웰니스 관광휴식·명상·헬스테크ESG·Well-being

 

Ⅶ. MICE 산업 현황 및 전략

강남구는 서울 내 전체 MICE 행사 중 약 35%를 담당하며, ‘코엑스–봉은사–삼성역–무역센터’ 축이 핵심 클러스터로 작동합니다.
MICE 산업은 외국인 방문객 1인당 소비액을 일반 관광객 대비 2.3배로 높이는 경제효과를 유발합니다.

항목주요 내용
MICE 행사 수연간 약 3,800건 (서울의 35%)
주요 행사CES Asia, K-Startup Week
소비효과외국인 소비액 +230%
경제효과1조 4천억 원(직·간접 포함)
개선 과제행사 공간·접근성·숙박 연계 강화

 

Ⅷ. 관광 인프라 및 체류 인센티브

체류형 관광 확대를 위한 주요 인프라 개선 방향은 ‘접근성 + 숙박 + 체류경험 + 디지털화’입니다.

영역정책방향세부 실행
접근성공항·지하철 환승 편의공항버스 루트 확대
숙박소규모 체류시설 확충K-Stay 인증제 도입
체류경험워케이션·로컬체험체류형 관광패스
디지털화AR 관광·AI 가이드MarketHub Smart Tour
Ⅸ. 관광정책·산업 융합 로드맵

Glocal 관광정책은 단순 홍보 중심을 넘어, 산업·문화·소비를 데이터 기반으로 연결하는 구조로 재편됩니다.

단계주요 전략정책도구
1단계관광·소비 통합데이터 구축AI 루프·OTA 연계
2단계Glocal 관광브랜드화강남 K-Life Week
3단계체류형 경제모델 완성지역민·소상공 협업
4단계글로벌 투자·콘텐츠 연계PPP + 글로벌 마케팅
Ⅹ. AI 감성 분석 결과 (외국인 리뷰·SNS 기반)

AI가 1년치 영어·중국어·일본어 리뷰를 분석한 결과, 강남 관광의 긍정 감성은 **82.4%**로 서울 평균(75.6%)을 크게 상회합니다.

언어긍정(%)부정(%)주요 키워드
영어84.215.8clean, safe, stylish
중국어79.520.5美丽, 方便, 时尚
일본어83.616.4清潔, 美容, 親切
한국어82.417.6교통편리, 다양성, 친절
종합82.417.6‘안전+세련됨’ 도시 이미지

 

ⅩⅠ. KPI 대시보드 (AI 자동갱신형)

분기별 자동 업데이트되는 관광 KPI는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지표데이터원
방문객수연간 총 방문객 / YoY서울관광재단
체류일수평균 숙박일수OTA 통계
소비액1인당 평균 소비액신용카드DB
재방문율외국인 기준MarketHub
신뢰지수Trust Index(Tourism)AI 분석

 

ⅩⅡ. 결론 및 제언

강남구는 “비즈니스와 관광이 융합된 도시경제 모델”로 발전 중입니다.
Glocal 관광의 핵심은 “체류시간 × 체험품질 × 콘텐츠 연계성”이며,
AI 데이터 기반으로 관광정책을 실행할 경우,
2028년까지 체류소비는 현재 대비 +42%, 재방문율은 +15%p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