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및 출처 |
|---|---|---|
| 글로벌 플라스틱 시장 | 경기 둔화에도 포장·자동차·전자용 수요 지속 | Bloomberg Plastics 2025.8 |
| 한국 수입 구조 | 원료형 수입 감소, 가공제품 및 특수수지 수입 증가 | 산업통상자원부 2025 |
| ESG 규제 | EU 플라스틱세 및 CBAM 영향 본격화 | European Commission 2025 |
| 기술전환 | 바이오·리사이클 기반 플라스틱 전환 가속 | Reuters Chemicals 2025.7 |
석유화학 중심의 전통 플라스틱 수입은 둔화, 친환경·고기능성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심 구조 전환이 가속되고 있습니다.
항목 | 세부 내용 | 데이터 출처 |
|---|---|---|
| HS 코드 | 39 (Plastics and Articles Thereof) | UN Comtrade |
| 주요 세부품목 | 3901(에틸렌폴리머), 3902(프로필렌폴리머), 3907(폴리에스터수지), 3919(필름·테이프), 3923(용기·포장재) | 관세청 무역통계 |
| 2024년 수입 규모 | 약 296억 USD (전체 수입의 4.3%) | KCS, OEC 2025 |
| 연평균 성장률(’20–’24) | +3.6% | 산업연보 |
| 주요 수요처 | 포장·전자·자동차·건축·의료소재 산업 |
HS39는 소비재·산업재 교차 품목군으로, 산업별 플라스틱 다변화와 ESG 대응형 소재 수입이 빠르게 확대 중입니다.
순위 | 수입국 | 비중(%) | 주요 품목 | 특징 및 리스크 |
|---|---|---|---|---|
| 1 | 중국 | 31 | 일반 폴리머·필름 | 저가 경쟁력 높음, 품질 편차 |
| 2 | 일본 | 20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 자동차·전자용 고기능 소재 |
| 3 | 미국 | 17 | 고급 합성수지·재활용수지 | ESG 대응 중심 |
| 4 | 독일 | 10 | 정밀 폴리머·의료소재 | 품질 안정성 높음 |
| 5 | 대만 | 7 | 포장·전자소재 | 동아시아 공급망 연결 |
상위 5개국이 전체 수입의 85% 이상을 차지하며, 중국 저가재 + 일본·미국 고급재 이원화 구조가 유지되고 있습니다.
구분 | 2023 Q3 | 2024 Q3 | 증감(%) | 비고 |
|---|---|---|---|---|
| 합성수지 원료 (톤) | 4,350,000 | 4,520,000 | +3.9 | 포장재 중심 |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950,000 | 1,030,000 | +8.4 | 자동차·전자용 |
| 재활용·바이오 플라스틱 | 180,000 | 210,000 | +16.6 | ESG 전환 영향 |
| 완제품 (용기·필름 등) | 720,000 | 750,000 | +4.2 | 포장·소비재 |
| 합계 | — | — | +5.9 | 구조적 증가 |
특히 엔지니어링·바이오 플라스틱 수입 증가율이 두드러지며, 친환경·고내열 특수소재 중심으로 구조 재편이 진행 중입니다.
품목 | 2024 Q1 | 2024 Q2 | 2024 Q3 | 변동(%) |
|---|---|---|---|---|
| 폴리에틸렌 (USD/톤) | 1,130 | 1,150 | 1,165 | +1.3 |
| 폴리프로필렌 | 1,060 | 1,075 | 1,090 | +1.4 |
| PET 수지 | 1,240 | 1,260 | 1,275 | +1.2 |
| 엔지니어링플라스틱 (PA, PC 등) | 3,250 | 3,330 | 3,420 | +2.7 |
고기능성·내열소재 중심으로 단가가 완만히 상승 중이며, 원유가 안정세가 전체 단가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분기 | 특징 | 수입 변동성 지수 (0–1) |
|---|---|---|
| Q1 | 제조·건설 둔화기 | 0.43 |
| Q2 | 포장재·가전 수요 증가기 | 0.68 |
| Q3 | 전자·자동차산업 생산 피크 | 0.74 |
| Q4 | 연말 수요 조정기 | 0.58 |
Q2~Q3 집중 패턴은 포장·전자·자동차 산업 수요와 밀접히 연동되어 있습니다.
항목 | 내용 |
|---|---|
| 관세율 | 평균 3~8%, FTA 적용 시 대부분 무관세 |
| 비관세 | 플라스틱세(EU), 환경인증서 요구, 탄소배출보고 의무 |
| 국내 대체산업 | 리사이클·바이오 플라스틱 국산화율 42% |
| 향후 과제 | 재활용·저탄소 인증체계 구축, 바이오폴리머 상용화 확대 |
EU 환경규제 대응과 바이오·리사이클 기술 내재화가 수입 구조 안정화의 핵심입니다.
지표 | 평가 | 해석 |
|---|---|---|
| 탄소배출 영향 | 상 | 생산공정 원유기반 탄소 집중 |
| ESG 리스크 | 중 | 중국 공급망 품질·환경 문제 |
| Net Zero 기여 | 중~상 | 재활용·바이오 전환 시 개선 가능성 높음 |
친환경 플라스틱 대체 기술(PHA, PLA, PET 재활용)이 글로벌 무역의 중심으로 이동 중입니다.
수입국 | 정책·환경 리스크 (0–1) | 물류 리스크 (0–1) | 종합 Trust Index |
|---|---|---|---|
| 중국 | 0.44 | 0.33 | 0.65 |
| 일본 | 0.23 | 0.26 | 0.81 |
| 미국 | 0.22 | 0.28 | 0.80 |
| 독일 | 0.24 | 0.27 | 0.79 |
| 대만 | 0.29 | 0.31 | 0.74 |
평균 Trust Index = 0.76 (양호)
일본·미국·독일산 고급 플라스틱은 품질·공급 안정성이 높아, 향후 ESG 기준 충족에 유리합니다.
산업 | 주요 기업 | 수입 품목 | 비고 |
|---|---|---|---|
| 포장·식품 | CJ제일제당, 롯데푸드 | PET·폴리올레핀 | 포장재 중심 |
| 자동차·전자 | 현대모비스, 삼성전자, LG전자 |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 내열·경량소재 |
| 건축·인테리어 | LX하우시스, 한화솔루션 | PVC·폴리카보네이트 | 내장재 중심 |
| 의료·소비재 | SK바이오메드, 아모레퍼시픽 | 위생·의료용 소재 | 고순도 수입 중심 |
국내 플라스틱 수입의 48% 이상이 산업용 엔지니어링 및 포장용으로, 가공·소재 중심 수입구조로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지표 | 현재 (2025 Q3) | 전분기 대비 (Δ%) | 해석 |
|---|---|---|---|
| ΔImport | +3.2% | ▲1.0 | 고기능성·ESG제품 중심 증가 |
| ΔPrice | +1.8% | ▲0.5 | 안정세 유지 |
| ΔCountryShare | +0.4% | ▲0.3 | 미·일 비중 확대 |
| Trust Index | 0.76 | = | 안정적 |
| Forecast (3M) | +3.9% | ▲ | Q4 전자·포장 수요 지속 |
요약: HS39 플라스틱 수입은 안정적 성장세 유지.
전통석유화학 기반에서 고기능성·친환경 소재 중심 전환이 뚜렷합니다.
구분 | 제언 내용 | 기대 효과 |
|---|---|---|
| 1 | ESG 기반 플라스틱 수입 인증제 도입 | 환경 규제 대응 |
| 2 | 바이오·리사이클 플라스틱 기술 상용화 | 수입 대체효과 |
| 3 | AI 무역지수 기반 수입 수요관리 | 재고·물류 효율화 |
| 4 | EU·미국 환경세 대응 협의체 구축 | 무역 리스크 완화 |
| 5 | 고기능 플라스틱 전문 R&D 클러스터 확충 | 산업 경쟁력 강화 |
HS39 (플라스틱 및 플라스틱제품)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3.2%, ΔPrice +1.8%, Trust 0.76, Forecast(3M) +3.9%
→ 전망: 완만한 상승 (Positive-Neutral).
고부가·친환경·리사이클 기반 소재 중심으로 안정 성장 중이며,
AI 무역지수 기반 ESG 대응형 수입 관리체계 구축이 중장기 핵심 전략으로 제시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