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금속소재 산업은 글로벌 경기 둔화와 탄소규제 강화로 인해 FTA 효용과 CBAM 대응력이 동시에 중요해진 대표 업종입니다.
2026년부터 EU CBAM이 본격 시행되면, 철강·알루미늄 제품의 탄소인증 및 LCA 보고가 필수화되며,
한국 수출업체의 FTA 경쟁력은 ‘관세 감면 + 탄소 데이터 완성도’로 평가될 것입니다.
리스크 요인 | 2025~2026 전망 | 영향도(1~5) | 시사점 |
|---|---|---|---|
| EU CBAM 본격 시행 | 철강·알루미늄 직접 과세 | 5 | 탄소배출보고·LCA 체계 구축 필수 |
| IRA(미국) | 청정제조 세액공제 중심 | 4 | 북미 저탄소 철강 공급망 진입 기회 |
| 중국 생산과잉 | 가격·재고 압력 지속 | 4 | RCEP·한-인도 CEPA 재활용 가능 |
| 환율·에너지비용 | 완만한 안정세 | 3 | 에너지절감형 설비 투자 유효 |
| 무역규제 확산 | 세이프가드·AD조치 증가 | 4 | HS세부별 판정·FTA 활용 병행 |
철강·금속소재는 FTA 관세혜택이 크지만, **제품특성(코일·판재·압연 등)**과 복합가공단계로 인해 원산지 판정이 까다롭습니다.
FTA 활용률은 평균 78~85%, 그러나 탄소데이터·환경인증 비용 부담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구분 | FTA 적용률(%) | 주요 애로요인 | 관리 포인트 |
|---|---|---|---|
| 열연·냉연강판 (HS7208~7212) | 84 | 원산지 증빙·공정세분화 | FTA·CBAM 병행 보고체계 구축 |
| 스테인리스강·합금강 | 80 | 부품소재 혼입 | BOM 기반 RVC 계산 필요 |
| 알루미늄 판재 (HS7606 등) | 82 | 환경인증·LCA 요구 | 재생비율·전력소비 보고체계 |
| 중소제조·소공장 | 66 | 데이터·문서 인력 부족 | 협동조합형 FTA 지원체계 확대 |
FTA를 통한 관세감면 효과는 여전히 크지만, 철강은 세이프가드·덤핑방지·CBAM 등의 비관세 리스크가 급격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FTA 협정망 내에서는 무관세 혜택이 대부분 유지되지만, 탄소·재활용 규제 대응에 따라 실질 수익성 차이가 커지고 있습니다.
시장 | MFN(%) | FTA 적용(%) | 차이 | 주요 비관세장벽 | 비고 |
|---|---|---|---|---|---|
| 미국 | 2.5~25 | 0~2.5 | -2.5~-22.5 | 세이프가드·IRA 청정철강 요건 | 북미 탄소감축 공급망 연계 |
| EU | 3~15 | 0 | -3~-15 | CBAM 직접 적용·Ecodesign | 2026년 과세 본격화 |
| 중국 | 5~10 | 0~5 | -5~-10 | 수입쿼터·산업보호 | RCEP 내부 교역 중심 |
| 인도·ASEAN | 10~25 | 0~10 | -10~-25 | 인증·행정지연 | RCEP·CEPA 누적 활용 |
철강·금속소재 산업은 2026년부터 EU CBAM 직접 과세 대상이며,
제품단위의 탄소배출량(LCA), 전력믹스 데이터, 재활용비율, 원재료 추적성 보고가 의무화됩니다.
RE100 및 녹색조달제도가 병행되며, 탄소단가 경쟁력이 실질적 수익성을 좌우합니다.
제도 | 적용범위 | 시행시기 | 영향도(1~5) | 대응 전략 |
|---|---|---|---|---|
| EU CBAM | 철강·알루미늄 직접 과세 | 2026 | 5 | LCA·배출데이터 플랫폼 구축 |
| IRA | 북미 청정제조 세액공제 | 2025 | 4 | 저탄소 원자재 공급망 확보 |
| RE100 | 전력기반 제조공장 | 상시 | 3 | 제철소·압연공정 전력전환 |
| ESG 공시 | 전방산업 연동 | 2025~2027 | 4 | 지속가능경영보고 의무화 대비 |
한국: 고급강·친환경 철강소재·고순도 알루미늄 중심 생산허브 유지
EU: CBAM 대응용 현지 가공·포장공장 설립 검토
북미: IRA 세액공제형 공급망(미국·멕시코 합작형) 확대
아세안: RCEP 기반 중저가 소재·조립라인 재배치
AutoLoop 결과, 철강·금속소재 산업은 글로벌 수요 둔화 속에서도 친환경 강재·경량 합금재 중심의 수출 개선세를 보입니다.
CBAM 관련 뉴스의 감성지수(α)와 IRA의 보조금 기대감(β)이 ΔSignal을 긍정적으로 견인 중입니다.
변수 | Δ(%) | 해석 |
|---|---|---|
| ΔExport_now | +2.5 | EU·북미 수출 확장세 유지 |
| ΔImport_now | +1.7 | 원자재·부품소재 수입 확대 |
| ΔPrice_now | +0.4 | 고급강·알루미늄 단가 상승 |
| ΔSignal_now | +0.031 | 정책·기대감 기반 긍정 시그널 |
| ΔFTAEffect | +0.34 | 관세+CBAM 병행 대응 효과 |
| Forecast_3M | +0.52 (상승 예측) | 3개월 내 안정적 상승세 전망 |
분야 | 제언 | 실행 주체 | 기대 효과 |
|---|---|---|---|
| CBAM 대응 | 철강·비철금속 LCA 통합 플랫폼 구축 | 환경부·산업부 | 탄소신뢰도 확보 |
| FTA+ESG 연계 | ESG 기반 원산지 인증 제도 도입 | 관세청·산업부 | 데이터 일관성 확보 |
| 탄소세 상쇄 | CBAM 대응용 수출세액공제 검토 | 기재부·산업부 | 비용 절감 |
| 녹색금융 | RE100 기반 금융 인센티브 | 정책금융·산은 | 투자 촉진 |
| 기술혁신 | 수소환원제철·저탄소 알루미늄 기술개발 | 정부·민간 | 글로벌 경쟁력 유지 |
FTA 경쟁력 = 관세 + 탄소데이터의 이중축으로 이동.
EU CBAM 시행으로 철강·알루미늄의 탄소신뢰도가 FTA 활용효과를 좌우.
Forecast_3M: +0.52 → 친환경 강재 수요 견조, 북미·EU 중심 완만한 상승세.
향후 전략 방향:
① CBAM-LCA 데이터 표준화
② IRA 기반 북미 공급망 참여
③ RCEP 원자재 누적확대
④ ESG+FTA 복합 인증체계 구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