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의류·패션은 **소비 경기·환율·공급망·규제(ESG/EPR)**의 복합 영향을 받습니다.
패스트패션과 리오더(Short-cycle) 수요가 회복되는 가운데, 중국 리스크 분산으로 한-아세안·인도·방글라데시 축의 소싱 전환이 가속화됩니다. 고부가 니트/기능성소재, 애슬레저, 작업복·유니폼 B2B 수요가 견조합니다.
리스크 요인 | 2025~2026 전망 | 영향도(1~5) | 시사점 |
|---|---|---|---|
| 소비 경기/재고 | 점진적 정상화 | 3 | 짧은 리드타임·온디맨드 생산 중요 |
| 소싱 다변화 | 중국→아세안/남아시아 전환 | 5 | RCEP·양자 FTA 누적 활용 |
| 노동·윤리·ESG | 실사 의무·임금 상승 | 4 | 감사·추적성, 공급망 계약 표준화 |
| EPR/순환경제 | 재활용·라벨링 의무 확대 | 4 | r-원사·모듈러 디자인, 섬유패스포트 대응 |
| 환율·운임 | 변동성 완만 | 2 | 선적·보험 조건 최적화 |
의류(HS61/62)는 주요 시장에서 협정세율 인하 효과가 크고, 실무에서는 PSR(세번변경·RVC)과 가공공정 판정, 원사·직물 원산지 추적이 병목입니다.
직물·편물(HS54~60)은 기능성·혼방률에 따라 HS·PSR이 달라지므로 사전 판정이 중요합니다.
구분 | FTA 적용성(경향) | 주요 애로요인 | 관리 포인트 |
|---|---|---|---|
| 의류 완제품(HS61/62) | 대체로 고율→저율/무관세 전환 체감 | PSR(CTH/RVC)·공정 판정 | 봉제국·원사/직물 원산지 일치 |
| 니트/편물(HS60) | 혼용률·기능성에 따라 상이 | 기능성 가공증빙 | 시험성적서·가공공정도 |
| 직물·원사(HS54~59) | MFN 편차 존재 | HS 세부분류·혼방률 | 원재료 CO·스펙시트 |
| 액세서리(HS6212 등) | 관세효과 중간 | 부자재 원산지 | BOM·RVC 자동추적 |
미·EU·영국은 협정 관세 인하 체감이 크지만 원산지 규정과 라벨·시험·인권 실사가 실질 장벽입니다.
아세안·남아시아는 인증·통관 절차 편차가 크고, RCEP·양자 FTA의 역내 누적이 비용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시장 | 대표 품목 | MFN(경향) | FTA 적용 시 | 비관세장벽(예) | 코멘트 |
|---|---|---|---|---|---|
| 미국 | 티셔츠·팬츠·아우터 | 중·고율 | 저율/무관세 확대 | 라벨·안전성·소아성·CBP 심사 | 섬유협정·발주 리드타임 중요 |
| EU | 니트·드레스·셔츠 | 중율 | 폭넓은 인하 | 섬유패스포트·REACH·EPR | 화학물질·표시 강화 추세 |
| 영국 | 니트·남성의류 | 중율 | 인하 | UKCA·라벨 규정 | EU와 유사하나 절차 분리 |
| 일본 | 편물·소재 | 중·저율 | 광범위 인하 | JIS·라벨·형상안전 | 품질·내구성 요구 높음 |
| 아세안/인도 | 원사·직물·의류 | 중율 | RCEP/양자 인하 | 원산지증명·통관 편차 | 누적 활용 효과 큼 |
주: 실제 세율·요건은 HS·혼용률·가공공정에 따라 상이하므로 사전 HTS/PSR 판정 권장.
직접 CBAM 대상은 아니나, EPR(생산자책임재활용), 섬유패스포트(디지털 제품 여권), 화학물질 규제(REACH 등) 가 확대됩니다.
재활용 섬유(r-PET, r-nylon), 바이오 기반 원사, 무독성 염색·가공, 공정 에너지 절감이 납품 요건으로 부상합니다.
제도/이슈 | 핵심 요구 | 영향도(1~5) | 대응 |
|---|---|---|---|
| EPR(의류) | 회수·재활용 목표·수수료 | 5 | 역회수망·r-소재 사용률 관리 |
| 섬유패스포트 | 소재·화학·수선 정보 데이터화 | 4 | 디지털 라벨·QR·PLM 연동 |
| 화학물질 규제 | 금지·제한·시험 문서 | 4 | ZDHC·MRSL·시험 레지스트리 |
| 노동·인권 실사 | 감사·임금·야간근로 관리 | 4 | 서플라이어 코드·3자 감사 |
한국: 고기능 니트·테크니컬 패브릭·스마트텍스타일 R&D, 소량다품종 샘플링 허브
베트남/인도네시아/캄보디아: 대량 봉제·패키지 소싱, RCEP 누적으로 관세절감 극대화
인도/방글라데시: 면직물·직물 기반 캐주얼, 가격경쟁력 강점(품질·납기 관리 필요)
EU/미국 현지: 커스텀/리오더용 소량 생산·디지털 프린트·수선 리퍼브 거점
뉴스·소비지표 감성(α), 글로벌 동조(β), 섹터 심리(λ)를 결합. 재고 정상화·리오더 회복과 RCEP 누적효과로 완만한 개선 시그널.
변수 | Δ(%) 또는 지수 | 해석 |
|---|---|---|
| ΔExport_now | +2.1 | 니트/애슬레저·유니폼 수요 견인 |
| ΔImport_now | +1.4 | 원사·부자재·기능성 직물 보강 |
| ΔPrice_now | +0.3 | 기능성·친환경 프리미엄 반영 |
| ΔSignal_now | +0.026 | 소비심리·리오더 회복 |
| ΔFTAEffect | +0.31 | 관세격차 + 역내누적 효과 |
| Forecast_3M | +0.47 | 3개월 완만한 상승 전망 |
산식(요약): Forecast_3M = 0.5·ΔSignal + 0.3·ΔFTAEffect + 0.2·ΔPrice
분야 | 제언 | 실행 주체 | 기대 효과 |
|---|---|---|---|
| 원산지·PSR | 봉제·가공 공정별 PSR 가이드/판정 서비스 | 관세청·KOTRA | 반려·추징 리스크 감소 |
| EPR·순환경제 | 회수·재활용 인프라 인센티브 | 환경부·지자체 | 프리미엄/입찰 경쟁력 |
| 디지털 패스포트 | DPP 표준·QR·PLM 연동 지원 | 산업부·무역협회 | 납품요건 충족·브랜드 신뢰 |
| 인권·윤리 | 공급망 실사 바우처·교육 | 고용부·중기부 | 바이어 감사 대응력 강화 |
| 스마트제조 | 소량다품종·온디맨드 인프라 | 지자체·혁신센터 | 리드타임·재고 비용 절감 |
섬유·의류·패션의 FTA 실효성은 관세 절감 + PSR 준수 + EPR/화학/인권 규정 대응의 합.
Forecast_3M: +0.47 — 니트·기능성·유니폼/B2B 중심의 완만한 상승.
권장 전략: ① RCEP 누적·다원 소싱 ② DPP·EPR 선제 대응 ③ ZDHC·시험 레지스트리 ④ 디지털 온디맨드 생산/리오더 체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