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구분

주요 내용

근거·출처

글로벌 의료기기 시장팬데믹 이후 정상화 + 고령화·AI진단기기 수요 확대WHO, Fitch Solutions 2025
기술경쟁 심화AI 영상진단 및 정밀의료 기기 급성장Reuters 2025.9
규제·통관FDA·CE 의료기기 인증 기준 강화KFDA 및 EU MDR 2025 지침
대외리스크美·中 무역갈등 → 의료부품 소자 공급 지연Bloomberg 2025.8

AI 진단·정밀의료 기술 확산으로 의료기기 수입이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가운데, 의료·광학 정밀기기 부품 공급망 리스크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Ⅱ. 수입품목 현황 및 특성 분석

항목

세부 내용

데이터 출처

HS 코드90 (Optical, Photographic, Measuring, Medical or Surgical Instruments)UN Comtrade
주요 세부품목9018(의료기기), 9027(분석·측정기기), 9001(광학렌즈), 9013(레이저 기기)관세청 무역통계
2024 수입 규모약 465억 USD (전체 수입의 6.9%)OEC, KITA 무역자료
연평균 성장률 (CAGR ’20–’24)+5.6 %산업연감
주요 산업 수요처병원·제약·전자·연구기관KMDIA 2025

HS90 품목은 의료·정밀 기술 산업의 핵심 기반으로, 고가 진단기기·정밀측정 장비·광학 소자 수입이 중심입니다.

Ⅲ. 주요 수입국 및 공급망 특성

순위

수입국

비중 (%)

특징 및 리스크

1미국37MRI·CT 등 고가 의료장비 중심
2독일21정밀 광학·의료기기 기술 우위
3일본17진단기기·광학렌즈 중심
4중국11저가 소모성 · 광학부품
5스위스5고정밀 분석기기

상위 5개국이 전체 수입의 91%를 차지하며, 특히 미·독·일 삼각 수입축 이 의료·광학 장비 시장 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Ⅳ. 수입량 및 공급 안정성

구분

2023 Q3

2024 Q3

증감 (%)

비고

의료 진단기기8.2 억 USD9.0 억 USD+9.8AI 진단 기기 수요 ↑
광학 · 사진 기기5.7 억 USD5.9 억 USD+3.4이미징 센서 · 카메라모듈
측정 · 시험 기기3.3 억 USD3.5 억 USD+6.1반도체 및 연구 기관 수요
합계17.2 억 USD18.4 억 USD+7.0안정적 증가 기조

AI·정밀진단 및 바이오 인프라 확대로 의료 기기 수입 증가율이 전체 평균을 상회 하고 있습니다.

Ⅴ. 단가 및 가격 동향

구분

2024 Q1

2024 Q2

2024 Q3

변동 (%)

MRI 기기 (USD/대)1.33 M1.35 M1.38 M+2.2
CT 스캐너0.97 M0.99 M1.03 M+4.0
광학렌즈 · 이미지센서58 K59 K60 K+1.7
분석 · 측정기기0.41 M0.43 M0.45 M+4.6

고급 진단장비 및 AI 연동 기기 단가가 상승 하면서 수입 금액 증가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Ⅵ. 계절별 패턴

분기

특징

수입 변동성 지수 (0–1)

Q1정부 의료예산 집행 대기0.41
Q2대형병원 장비 갱신 집중0.67
Q3바이오 전시회 · 프로젝트 발주0.72
Q4회계 조정 및 재고 관리0.53

Q2–Q3 발주 집중 현상 이 뚜렷하며, 연구기관·병원 리뉴얼 시즌 과 연동됩니다.

Ⅶ. 관세·비관세 장벽 및 대체산업

항목

내용

관세율0~8%, FTA 품목 대부분 무관세
비관세의료기기 인증 (KFDA · CE · FDA), 임상데이터 제출 요건
국내 대체산업진단기기 국산화 (20 → 35%), 광학부품 국산화 (40%)
향후 과제AI 의료기기 제조 인증 간소화, 국내 A/S 네트워크 확충

규제 허가 절차 복잡성이 수입 속도에 영향하며, 국산 진단기기 생태계 육성 이 중장기 핵심입니다.

Ⅷ. ESG · Net Zero 연관도

지표

평가

의미

탄소배출 영향Low비산업 설비 중심
폐기물 관리의료폐기물 처리 비용 존재
Net Zero 기여의료 효율성 및 탄소 절감형 기기 확산

의료·광학기기는 상대적으로 탄소 영향 이 적으나, 폐기물 관리 및 소모품 ESG 이슈 가 점진적으로 부각됩니다.

Ⅸ. 국가별 리스크 지수

수입국

정책 · 기술 리스크 (0–1)

물류 리스크 (0–1)

종합 Trust Index

미국0.220.290.82
독일0.250.300.78
일본0.310.280.74
중국0.480.380.61
스위스0.260.270.79

평균 Trust Index = 0.75(양호).
미국 · 독일 비중이 높아 공급 안정성 우수하며, 품질 신뢰도가 높습니다.

Ⅹ. 주요 바이어 및 산업 연결고리

산업

주요 기관 · 기업

사용 품목

비고

의료 서비스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세브란스MRI, CT, 초음파수입비중 90%
제약·바이오셀트리온, 한미약품, 유한양행실험실 측정·분석기기R&D 투자 확대
전자·광학삼성전자, LG이노텍카메라모듈 · 광학센서수입부품 → 수출 재가공
연구기관KIST, ETRI, 대학병원정밀 분석기기수입 장비 의존도 높음
Ⅺ. AI 무역지수 및 3개월 예측

지표

현재 (2025 Q3)

전분기 대비 (Δ%)

해석

ΔImport+3.5%▲1.2의료 진단 및 광학기기 수입 확대
ΔPrice+2.6%▲0.8고가 AI 진단장비 중심
ΔCountryShare+0.5%▲0.3미·독 비중 소폭 증가
Trust Index0.75=공급망 안정성 양호
Forecast (3M)+4.2%AI 영상진단 수요 지속 확대

요약: 한국의 의료 · 광학 기기 수입은 AI 진단 · 정밀분석 중심으로 안정 상승 중이며, 미·독 공급 라인 확대가 공급망 신뢰도 향상에 기여.

Ⅻ.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구분

제언 내용

기대 효과

1AI 의료기기 인증 간소화 및 KFDA–EU 상호인정수입속도 및 경쟁력 향상
2의료 장비 A/S 및 부품 현지화 센터 확충유지비 절감
3국산 진단기기 R&D 세제 지원수입 대체 효과
4AI 무역지수 기반 조달 예측 모델 활용예산 효율 제고
5의료 ESG 기준 (폐기물·탄소) 도입지속가능 성장 기반 확립
ⅩⅢ. 종합 결론

HS90 (광학·사진·의료기기)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3.5% / ΔPrice +2.6% / Trust 0.75 / Forecast +4.2%
전망: 견조한 상승세 (Positive) 유지.
AI 정밀의료 · 광학센서 수요가 중장기 성장세를 지속시킬 전망이며, 국산화 전환 및 인증 제도 혁신이 중요한 정책 방향으로 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