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urated Kitchen은 기존 공유주방(Shared Kitchen)에서 한 단계 발전한 개념으로,
▶︎ 여러 소규모 브랜드(HMR·로컬식당·비건·디저트 등)를 한 공간에 큐레이션·편집형으로 구성하고,
▶︎ 고객은 오프라인/온라인에서 브랜드 셀렉션·메뉴 구독·AI 추천 주문을 경험하는 구조입니다. - 글로벌 시장에서는 CloudKitchens(미국), Kitchen United, Deliveroo Editions(영국), Reef Technology 등이
“공유주방 + 큐레이션형 브랜드 운영”으로 성장 중이며, **평균 수익률 22~28%**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 한국은 배달/테이크아웃 중심의 공유주방(배민키친·위쿡 등) 단계에 머물러 있어,
“큐레이션형 브랜드 셀렉트 플랫폼”은 신규 프랜차이즈 공백시장으로 평가됩니다.
구분 | 핵심 항목 | 특징 |
|---|---|---|
| 공간/설비 | 모듈형 주방, 공용 조리·세척 구역, 스테이션형 좌석 | 1개 주방에 다브랜드 입점(3~8개) |
| 원재료 | 식자재 풀필먼트, 반가공 식재, ESG 인증 원물 | 중앙조달 + 브랜드별 보관존 분리 |
| 기술/IT | POS·AI 주문·브랜드 큐레이션 알고리즘 | 고객데이터 기반 브랜드 추천 |
| 포장·배송 | 표준 패키지·브랜드 라벨링, ESG 포장 | 공용 배송/물류 효율화 |
| 운영/관리 | 키친 매니저, 세척/공용 인력, 수익공유 플랫폼 | 가맹형 운영 + 수익배분형 계약 |
구분 | 주요 파트너 | 비고 |
|---|---|---|
| 식자재/풀필먼트 | CJ프레시웨이, 신세계푸드, 푸드네트웍스 | 다브랜드 통합공급 + 저온물류 |
| 설비/인테리어 | 위쿡·메뉴팩토리·디자인주방 | 소형 모듈형 주방 구축 |
| IT·POS | 스마트오더·오더플로우·스마트로 | 브랜드별 실적·추천 알고리즘 |
| 배달/포장 | 쿠팡이츠, 배민B마트, 네이처팩 | 친환경 포장 + 브랜딩 |
| 스타트업 협력 | 로컬브랜드·프리미엄 PB | 인큐베이팅형 브랜드 셀렉션 |
트렌드 | 설명 |
|---|---|
| 혼밥·1인식 중심 | 1인 배달·간편식 소비 비중 63.9%, ‘개인 맞춤형 큐레이션’ 선호 |
| 테마형 브랜드 선호 | ‘로컬 감성·한끼식단·디저트·비건’ 등 선택형 경험 소비 강화 |
| 구독형 모델 확산 | AI 식단 구독(주간/월간)·정액 쿠폰형 패스 인기 |
| 로컬 창업·브랜딩 수요 | 셰프·소상공의 소규모 브랜드 인큐베이팅 공간 필요성 증대 |
| 오프라인 체험형 재부상 | ‘디지털 + 공간 경험’ 결합으로 고객 재방문율 상승(34%↑) |
- AI 메뉴 큐레이션 엔진: 고객 선호·날씨·시간대·주문이력 기반으로 메뉴 추천 → 체류·주문율 향상.
- 브랜드 매칭 플랫폼: 로컬 셰프·HMR 스타트업을 셀렉션으로 입점시켜 큐레이션형 공간 구성.
- ESG형 주방 설계: 에너지 절감형 설비·공용세척수 절감·분리수거 자동화 시스템 적용.
- 공동마케팅 인프라: 각 브랜드는 공동 리워드 포인트/AI 브랜딩·CRM 데이터 공유로 광고비 절감.
- 디지털 트윈 주방관리: 온도·습도·조리데이터 자동 기록 → 품질/위생 관리 자동화.
항목 | 범위/지표 | 특징 |
|---|---|---|
| 초기투자비 | 2.5~3.8억 원 (150~200㎡ 기준) | 주방·공용설비 중심 투자 |
| 월 매출 | 7,000~10,000만 원 (브랜드 3~6개 입점 시) | 매출 분산 리스크↓ |
| 수익 구조 | 임대+로열티+브랜드 수수료(10~15%) | 가맹형/운영형 선택 가능 |
| 평균 순이익률 | 20~25% | 일반 공유주방 대비 1.3배 |
| 회수기간 | 24~30개월 | AI 큐레이션·공동마케팅 시 단축 |
- 모든 입점 브랜드에 공통 ESG 기준 적용:
▫︎ 친환경 포장(PLA, 종이), ▫︎ 저탄소 조리기, ▫︎ 음식물 폐기 감축(데이터 분석 기반). - 공용 세척수 절감 시스템(물순환 60%), LED 조명·환기 자동제어, 탄소 배출 실시간 모니터링.
- 제로웨이스트 키친 모델(리유즈 용기·리턴존)과 결합 시 정부·지자체 ESG 지원사업 연계 가능.
위험요소 | 영향 | 대응전략 |
|---|---|---|
| 브랜드 이질성 | 메뉴 품질 불균형 | AI 리뷰평가·퇴출/입점 로테이션 |
| 초기 투자비 | 설비비 부담 | 공유형 리스모델·공공창업지원 결합 |
| 물류 복잡성 | 공급 지연·혼선 | 중앙 풀필먼트·냉장공동배송 구축 |
| 인력관리 | 공용직원 효율성↓ | AI 스케줄링·스마트 근태관리 |
| 상권 리스크 | 지역별 수요편차 | 데이터 기반 상권분석·테스트 키친 운영 |
지표 | Δ(예측) | 해석 |
|---|---|---|
| 큐레이티드형 주방 수요 | +24% | 1인·테마 외식·AI 주문 증가 |
| 입점 브랜드 성장률 | +18% | 로컬/스타트업 브랜드 참여 확대 |
| 고객 재방문율 | +31% | 체험형 공간·AI 추천 영향 |
| ESG 인증 도입률 | +40% | 정부 인센티브 연계 |
| 수익률(ROI) | +22% | 다브랜드·데이터 공유 효율성 |
1️⃣ 한국형 큐레이티드 키친 프랜차이즈는 “외식·HMR·로컬 브랜드 인큐베이팅”이 결합된 하이브리드 F&B 플랫폼입니다.
2️⃣ 기존 공유주방 대비 브랜드 다양성 + 데이터 큐레이션 + ESG 구조로 차별화 가능합니다.
3️⃣ 지자체·스타트업 육성형 사업모델로 확장 시, 정부 창업보육·청년일자리·ESG 인센티브 연계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성공 포인트는 “공간(Shared) → 콘텐츠(Brand) → 데이터(Loop)” 3단계 균형입니다.
5️⃣ 초기 파일럿은 서울·성수·홍대·대구 중앙로·부산 해운대 등 MZ 외식 중심 상권이 적합합니다.
한줄 요약
큐레이티드 키친은 “공유주방의 2.0 진화형 모델”, 즉
공간 + AI 큐레이션 + ESG + 브랜드 인큐베이팅을 결합한
차세대 프랜차이즈 플랫폼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