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분석

수산 교역은 SPS(위생·검역)·IUU(불법·비보고·비규제 어업) 규제·원산지표시가 실질 경쟁력을 좌우합니다. 냉동·냉장 물류비, 원양어장 접근성, MSC·ASC 등 지속가능 인증 수요가 확대되는 가운데, 가공품(캔·훈제·어묵 등)은 라벨·알레르겐·첨가물 규정이 병행 장벽으로 작동합니다.

 

리스크 요인

2025~2026 전망

영향도(1~5)

시사점

IUU·원산지 단속 강화선박·조업·물량 추적 의무 확대5전자선적·추적성(Traceability) 체계 구축
SPS·검역 기준 상향병원성·중금속·기생충 관리 강화5HACCP·COA·로트관리 정밀화
포장·라벨 규정알레르겐·영양·원산지 표기 강화4다국어 라벨·사전심사 필수
냉동체인·운임완만한 안정이나 고비용 구간3콜드체인 효율화·보험 최적화
기후·자원 변동성특정 어종 어획량 편차 확대3대체 어종·양식·가공 전환
Ⅱ. FTA 활용률 및 기업 실무 통계

원물(HS03류)은 관세·쿼터 + SPS가 핵심, 가공품(HS16류)은 관세감축 효과가 크지만 레시피·성분·라벨 이슈가 잦습니다.
PSR은 어획·양식 구분, 가공공정(세절·염장·훈제·캔 등)에 따라 CTH/RVC가 혼재하며, 추적성·IUU 서류가 실무 병목입니다.

구분(예시 HS)

FTA 적용성(경향)

주요 애로요인

관리 포인트

냉동어류(HS0303)·필레(HS0304)협정세율·쿼터 효과 有검역·기생충·중금속HACCP·검사성적서·로트 추적
갑각·연체류(HS0306/0307)MFN 편차 존재위생허가·잔류물질생산지·양식 인증·SPS 문서
캔·훈제·조미(HS1604/1605)관세감축 체감효과 큼라벨·첨가물·원산지레시피·COA·라벨 파일 사전 승인
어묵·즉석가공FTA+RVC 유리성분·알레르겐 표기성분표·알레르겐 표준 문안
Ⅲ. 국가별 관세·비관세 비교 매트릭스

선진시장(미·EU·일)은 SPS·IUU·라벨 규정을 중시, 신흥시장은 MFN 관세 + 검역 절차 비중이 큽니다. RCEP·양자 FTA 활용 시 가공품 관세 절감 체감이 큽니다.

시장

대표 품목

관세(경향)

FTA 적용시

비관세장벽(예)

코멘트

미국필레·캔·갑각류저~중율 혼재인하/무관세 확대FDA·FSVP·IUU 서류공장등록·로트 추적 필수
EU캔·훈제·조미저~중율, 일부 TRQ0%/인하위생·라벨·IUU·MSC/ASC지속가능 인증 선호
일본냉동·가공 혼재대체로 저율광범위 인하JFS·라벨·검역품질·신선도 기준 엄격
ASEAN원물·가공 모두중율RCEP/양자 인하검역·할랄·행정절차역내누적 유효

주: 실제 세율·요건은 HS 세부호·어종·가공유형에 따라 상이. 통관 전 HTS 판정·사전 질의 권장.

Ⅳ. ESG·CBAM 영향

직접 CBAM 대상은 아니지만, 포장재(플라스틱·알루미늄)·에너지·냉매가 간접 비용으로 반영될 수 있습니다.
MSC/ASC, Dolphin-Safe, BAP 등 지속가능성 인증과 노동·인권 실사 요구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제도/이슈

핵심 요구

영향도(1~5)

대응

IUU 규제어획·양식·운송 추적성5전자어획증명·선박·항차 데이터
위생·HACCP공정·온도·오염관리5CCP 관리·정기 검증
포장·순환경제재활용·라벨 요구3경량화·r-수지 전환
지속가능 인증MSC/ASC·BAP·FOS4공급망 인증 로드맵 구축
Ⅴ. 투자·공급망 이전 시나리오

한국: 고부가 가공(캔·훈제·조미·HMR)·브랜드·콜드체인 R&D 허브

미국·EU: 현지 라벨·레시피 최적화 생산(리드타임·신선도·조달 최적)

ASEAN: 전처리·세절·냉동·캔 공정 허브 + RCEP 누적

원양 연계: 원물 offtake + 국내 가공 고부가화 결합

Ⅵ. AI 기반 3개월 수출입 예측

뉴스·정책 감성(α), 글로벌 동조(β), 섹터 심리(λ) + 계절·프로모션 효과를 통합. 원물은 계절성 변동이 크고, 가공품은 안정적 수요로 완만한 개선 시그널.

변수

Δ(%) 또는 지수

해석

ΔExport_now+1.8캔·조미·HMR 중심 완만한 증가
ΔImport_now+1.1원물·첨가물·포장재 보강
ΔPrice_now+0.3가공 프리미엄·브랜드 효과
ΔSignal_now+0.024IUU·SPS 대응 개선 반영
ΔFTAEffect+0.27관세 인하 + RCEP 누적 효과
Forecast_3M+0.433개월 완만한 개선 전망

산식(요약): Forecast_3M = 0.5·ΔSignal + 0.3·ΔFTAEffect + 0.2·ΔPrice

Ⅶ.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분야

제언

실행 주체

기대 효과

IUU·추적성전자어획증명·선박·항차 데이터 플랫폼해양수산부·관세청반려·지연 리스크 최소화
SPS 지원검사·COA·라벨 사전심사 바우처식약처·KOTRA통관 리드타임 단축
FTA+RCEP 누적원물-가공 역내 누적 가이드 확립통상당국관세절감 체감 확대
콜드체인 혁신저전력 냉동·스마트 센서 보급산업부·지자체손실·반품 감소
지속가능 인증MSC/ASC 공동 컨설팅·바우처수출조합·협회바이어 신뢰·프리미엄 확보
Ⅷ. 결론 요약

수산·수산가공품의 FTA 실효성은 관세 감축 + IUU·SPS·라벨·추적성의 합.

Forecast_3M: +0.43 — 가공 중심 완만한 개선, 추적성·HACCP·라벨 선제 대응이 수익성 좌우.

권장 전략: ① 전자 추적성·IUU 서류 상시화 ② RCEP 누적·가공 전환 ③ HACCP·검사·라벨 표준 템플릿 ④ MSC/ASC 인증 포트폴리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