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해외 산업동향

글로벌 전기·전자 산업의 기술과 시장 변화 방향을 파악해 수출 전략 수립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리했습니다. 세계 수요 구조, 공급망 재편, 정책 변화 속에서 한국 전자산업의 강점을 명확히 인식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시장은 AI 반도체, 전장용 반도체, 데이터센터 장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완제품보다 핵심 부품 수출 비중이 증가하며, 미국·EU 중심의 공급망 재편이 본격화되었습니다. 인도와 베트남은 생산 허브로 성장 중이며, EU는 에코디자인 및 에너지효율 규제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수출 품목 (중분류 HS 기준)

전자산업의 세부 품목 구조를 파악해 성장축을 확인하고, 기업이 생산·투자 방향을 결정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구분

HS 코드

대표 품목

전략 포인트

반도체·전자부품HS85.1~85.4메모리, ASIC, 전력반도체AI·서버·전장용 수요 대응
디스플레이HS85.7OLED, LCD 패널고부가·니치 패널 중심
모듈·보드HS85.3PCB, 전원모듈, 통신모듈고신뢰성·맞춤형 시장 확대
완제품HS85.2, 85.28가전, 통신기기프리미엄·친환경 제품 수요
3. 주요 수출국 (국가별 규모·특성)

수출국별 시장 구조와 특성을 이해해 국가별 진입 전략과 규제 대응 방안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국가/권역

주요 품목

시장 특성

시사점

미국메모리, 전장부품기술·보안 규제 강화고부가 기술 인증 필수
중국/홍콩부품, 모듈공급망 재편 중심지가공무역 수요 지속
베트남부품, 모듈, 보드EMS·조립기지한국 부품 의존도 높음
EU/영국전장, 산업전자친환경 규제 강화CE·REACH 대응 필요
인도완제품, 부품제조 인센티브 확대중장기 시장 성장 가능
4. 생산량 / 수출가능물량

생산능력과 수출 여력을 분석해 공급망 계획 수립에 도움을 줍니다. 수출 가능 물량을 예측해 수주계획과 가격전략 수립에 직접 활용할 수 있습니다.

품목

국내 생산 CAPA(분기)

수출가능물량(분기)

단위

특징

메모리 반도체1,20078%K-wafer eq.AI 서버·전장 수요 반영
전력반도체5068%K-wafer eq.EV·산업용 중심
MLCC14075%억 개스마트폰·서버 부품
OLED 패널5565%백만 매IT·모바일 비중 상승
PCB/SMT 보드7.070%백만㎡네트워크장비 중심
5. 품질 규격

국제 품질 및 신뢰성 기준을 통해 각 수출 대상국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도록 구성했습니다. 품질 인증 실패나 클레임을 예방하고 신뢰도를 높이는 데 활용됩니다.

분야

주요 규격

핵심 포인트

전자부품JEDEC, AEC-Q100/200신뢰성·온도·ESD 내구성
안전CE(LVD/EMC), UL/CSA국가별 차등 인증 필요
환경RoHS, REACH납·니켈 등 유해물질 제한
기능안전ISO 26262, IEC 60601전장·의료기기 중심
6. 인증

국가별 인증 체계를 정리해 시장 진입 시 불필요한 리스크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인증 병목을 사전에 파악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구분

인증명

주요 적용지역

안전·전자파CE, UL/CSA, FCCEU·북미
환경RoHS, REACH, WEEEEU 중심
품질ISO 9001, IATF 16949전장용
보안IEC 62443, ISO/SAE 21434산업·차량용 SW
7. 물류 조건

전자제품의 특성에 맞춘 운송·보관·포장 기준을 제시해 품질 손상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실제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파손·지연 리스크를 줄이는 데 유용합니다.

품목군

포장/운송 방식

평균 리드타임

주의사항

반도체항공·ESD 트레이 포장3~7일온도·습도·정전기 관리
모듈·보드항공·해상 복합7~25일충격·라벨 오류 주의
패널·완제품해상·항공 혼합10~35일파손·서류 오류 주의
8. 최소 거래 단위 (MOQ)

거래 효율성과 비용 예측을 높이기 위해 품목별 최소 거래 단위를 명확히 제시합니다. 납품·포장 단위의 표준화를 통해 공급망 혼선을 줄일 수 있습니다.

품목군

MOQ

단위

특징

반도체1 Lot (Reel 단위)Kpcs샘플→양산 단계별 확대
MLCC100 ReelsKpcs공급 안정화 계약 권장
모듈/보드1 Pallet완충포장 의무화
패널/완제품1×20’/40’ FCLPallet에너지라벨 부착 필수
9. 데이터 심화

단가, 계절성, ESG, 관세, 리스크 등 정량 데이터를 구조화해 예측 정확도를 높였습니다. AI 수출예측 루프(Export Loop)의 입력변수로 활용되어 시뮬레이션 품질이 향상됩니다.

코드

항목

예시

활용

(A)단가DRAM/MLCC 단가 추이가격 전략 설정
(B)계절 패턴Q3 세트 피크생산계획 조정
(C)관세 장벽CBAM, FTA수출 리스크 관리
(D)국내 대체소재·부품 국산화율수급 안정성
(E)ESG탄소배출·재활용글로벌 규제 대응
(F)국가 리스크환율·정치 0.25수출 포트폴리오
(G)바이어 리스트글로벌 EMS세일즈 전략 수립
10. 수출예측 루프 (Export Loop) — 통합 지표

수출 추세를 실시간으로 예측해 향후 3개월간 변동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기업이 재고·생산·물류 계획을 데이터 기반으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세그먼트

ΔExport(%)

ΔPrice(%)

ΔCountryShare(pp)

TrustIndex(0–1)

3M Forecast

반도체·핵심부품+3.4+0.6+0.40.87AI·전장 수요 견조
디스플레이+1.2+0.30.00.72점진적 회복
모듈/보드+2.0+0.2+0.10.78서버·산업 수요 안정
완제품+0.6−0.1−0.10.65고가 프리미엄 중심
공급자(국내)

국내 주요 전자산업 공급자의 공식 정보를 제공해 거래 파트너십을 촉진합니다. 신뢰할 수 있는 공급망 확보로 해외 수출 협상력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기업명

주요 품목

URL

삼성전자반도체·모듈https://www.samsung.com
SK hynix메모리 반도체https://www.skhynix.com
LG DisplayOLED·LCDhttps://www.lgdisplay.com
LG Innotek모듈·센서https://www.lginnotek.com
삼성전기MLCC·패시브부품https://www.samsungsem.com
연락기관(국내)

전자산업 수출 관련 정책·통계·인증 정보를 제공하는 핵심 기관을 안내합니다. 정책 지원·인증 상담·무역정보를 활용해 수출 절차를 효율화할 수 있습니다.

기관명

역할

URL

산업통상자원부(MOTIE)산업·수출 정책https://www.motie.go.kr
KOTRA / KITA무역지원·바이어 매칭https://www.kotra.or.kr / https://www.kita.net
관세청(KCS)HS·FTA·통관https://www.customs.go.kr
한국반도체산업협회(KSIA)반도체 통계·정책https://www.ksia.or.kr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KEA)표준·전자산업 육성https://www.gokea.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