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주요 내용 | 근거 및 출처 |
|---|---|---|
| 글로벌 화학시장 | 석유화학 공급 과잉 → 일부 제품 가격 약세 | Bloomberg Chemicals 2025.8 |
| 한국 산업 구조 | 수출형 석유화학(에틸렌·파라자일렌)과 수입형 정밀화학 병존 | 산업통상자원부 2025 |
| 고부가화 추세 | 의약·화장품·배터리용 유기화합물 수입 증가 | KITA 무역리포트 |
| 환경 규제 | REACH·CBAM 도입 → ESG형 친환경 원료 수요 상승 | EU Chemical Watch 2025 |
한국의 유기화학제품 수입은 고부가 정밀화학·바이오계 원료 중심으로 이동 중이며, 저가 대량제품은 중국산 비중이 여전히 높습니다.
항목 | 세부 내용 | 데이터 출처 |
|---|---|---|
| HS 코드 | 29 (Organic Chemicals) | UN Comtrade |
| 주요 세부품목 | 2902(탄화수소), 2905(알코올), 2909(에테르), 2915(카복실산), 2922(산화질소화합물) | 관세청 무역통계 |
| 2024년 수입 규모 | 약 324억 USD (전체 수입의 4.7%) | KCS, OEC 2025 |
| 연평균 성장률(’20–’24) | +4.4 % | 산업연보 |
| 주요 수요처 | 의약·농약·플라스틱·화장품·배터리 전해질 산업 |
HS29는 정밀화학 기반산업의 근간 품목군으로, 고순도 유기화합물 및 기능성 첨가제 수입이 증가세입니다.
순위 | 수입국 | 비중(%) | 주요 품목 | 특징 및 리스크 |
|---|---|---|---|---|
| 1 | 중국 | 34 | 기본 유기용제·탄화수소 | 단가 경쟁력 높음, 환경 리스크 |
| 2 | 일본 | 18 | 정밀화학 중간체 | 반도체·의약용 고순도 원료 |
| 3 | 미국 | 17 | 고급 화학제품·배터리 전해질 | 기술 의존도 높음 |
| 4 | 독일 | 11 | 제약·화장품 원료 | 품질 안정성 우수 |
| 5 | 인도 | 6 | 농약·염료 원료 | 공급 리스크 낮음 |
상위 5개국이 수입의 86% 차지, 중국-일본-미국 3대 공급 축이 전체 시장을 좌우합니다.
구분 | 2023 Q3 | 2024 Q3 | 증감(%) | 비고 |
|---|---|---|---|---|
| 기본 유기화합물 (톤) | 4,550,000 | 4,680,000 | +2.9 | 석유화학·용제 |
| 정밀화학 중간체 | 820,000 | 870,000 | +6.1 | 의약·배터리용 |
| 화장품·의약 원료 | 420,000 | 460,000 | +9.5 | 수입 비중 증가 |
| 농약·염료 원료 | 290,000 | 295,000 | +1.7 | 계절성 수요 |
| 합계 | — | — | +4.3 | 안정적 증가 |
고부가 화학소재(의약·배터리 계열) 중심으로 수입량 증가세가 뚜렷합니다.
품목 | 2024 Q1 | 2024 Q2 | 2024 Q3 | 변동(%) |
|---|---|---|---|---|
| 에틸렌글리콜 (USD/톤) | 965 | 980 | 995 | +1.5 |
| IPA(이소프로필알코올) | 1,220 | 1,260 | 1,280 | +1.6 |
| 아세톤 | 905 | 910 | 935 | +2.7 |
| 리튬 전해질 첨가제 | 22,800 | 23,500 | 24,200 | +3.0 |
화학제품 단가는 안정세이나, 배터리용 고순도 첨가제 가격이 지속 상승하고 있습니다.
분기 | 특징 | 수입 변동성 지수 (0–1) |
|---|---|---|
| Q1 | 재고 보충기 | 0.44 |
| Q2 | 제조업 가동률 상승기 | 0.63 |
| Q3 | 의약·화장품 시즌, 수입 피크 | 0.75 |
| Q4 | 연말 재고조정기 | 0.56 |
Q2~Q3 수입 집중은 의약·화장품 제조사 및 전지소재 수요 증가에 기인합니다.
항목 | 내용 |
|---|---|
| 관세율 | 기본 3~8%, FTA 적용 시 대부분 무관세 |
| 비관세 | REACH(화학물질등록제), K-REACH, 환경·안전규제 강화 |
| 국내 대체산업 | 정밀화학·바이오소재 국산화율 58% |
| 향후 과제 | ESG 인증·친환경 원료전환 가속화, 제약용 유기중간체 자립화 |
환경 규제 강화를 계기로 바이오 기반 유기화합물 및 저탄소 용제 개발이 국내 R&D의 핵심 방향입니다.
지표 | 평가 | 해석 |
|---|---|---|
| 탄소배출 영향 | 중 | 정제·합성 과정 탄소 집중 |
| ESG 리스크 | 중~상 | 중국 공급망 환경 기준 차이 |
| Net Zero 기여 | 중~상 | 바이오화학·재활용 공정 전환 시 긍정적 |
친환경 유기화학 전환 기술(Bio-based Chemicals)이 향후 탄소 감축과 수입 안정성의 핵심 축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수입국 | 정책·환경 리스크 (0–1) | 물류 리스크 (0–1) | 종합 Trust Index |
|---|---|---|---|
| 중국 | 0.45 | 0.32 | 0.64 |
| 일본 | 0.24 | 0.25 | 0.81 |
| 미국 | 0.21 | 0.28 | 0.82 |
| 독일 | 0.25 | 0.27 | 0.79 |
| 인도 | 0.31 | 0.36 | 0.71 |
평균 Trust Index = 0.75 (양호)
공급망은 선진국 중심으로 안정적이며, 중국산 저가재 의존도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방향입니다.
산업 | 주요 기업 | 수입 품목 | 비고 |
|---|---|---|---|
| 석유화학 | 롯데케미칼, LG화학 | 탄화수소, 알코올계 | 대량소비형 |
| 제약·화장품 | 한미약품, 아모레퍼시픽 | 정밀중간체, 기능성첨가제 | 고순도 수입 |
| 배터리소재 | LG에너지솔루션, 포스코퓨처엠 | 전해질·첨가제 | 고가소재 중심 |
| 농약·염료 | 팜한농, 애경케미칼 | 아민계, 염료원료 | 계절성 변동 |
산업 간 수요가 분산되어 있으며, 고부가 정밀화학 및 배터리소재용 수입 비중이 45% 이상으로 급증했습니다.
지표 | 현재 (2025 Q3) | 전분기 대비 (Δ%) | 해석 |
|---|---|---|---|
| ΔImport | +3.9% | ▲1.3 | 정밀화학·배터리 소재 중심 증가 |
| ΔPrice | +2.4% | ▲0.7 | 고순도 첨가제 가격 상승 |
| ΔCountryShare | +0.6% | ▲0.3 | 미·일 비중 확대 |
| Trust Index | 0.75 | = | 공급망 안정 |
| Forecast (3M) | +4.5% | ▲ | 바이오화학 수요 지속 확대 |
요약: HS29 수입은 완만한 상승세.
고부가 정밀화학제품 중심으로 수입 확대, 중국 저가제품 의존도는 완화되는 추세.
구분 | 제언 내용 | 기대 효과 |
|---|---|---|
| 1 | 바이오 기반 화학소재 개발지원 강화 | ESG·탄소중립 대응 |
| 2 | 의약·화장품 원료 국내 생산 클러스터 구축 | 고순도 중간체 자립 |
| 3 | K-REACH 글로벌 상호인정 협정 추진 | 수입절차 간소화 |
| 4 | AI 무역예측모델로 재고·조달 효율화 | 원가절감 |
| 5 | 고위험 화학물질 수입관리 강화 | 환경안전 확보 |
HS29 (유기화학제품)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3.9%, ΔPrice +2.4%, Trust 0.75, Forecast(3M) +4.5%
→ 전망: 완만한 상승 (Positive-Neutral).
정밀화학·의약·배터리소재 중심으로 안정 성장 중이며,
ESG·바이오 기반 유기화학 전환이 향후 핵심 경쟁축으로 평가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