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구분주요 내용시사점
글로벌 경기금리 인하 기대감, 안전자산 선호 강화금·은·귀금속 수입 증가 요인
환율 영향달러 강세 유지 → 금값 상승원화 약세 시 수입단가 상승
글로벌 불확실성지정학·중동리스크, 물가불안귀금속 투자 수요 견조
ESG·윤리무역‘Conflict-free minerals’ 규제 강화정품 인증·출처 관리 필요

HS71은 귀금속·보석·코인 등 고가자산군으로, 투자·명품·산업용 수요가 복합적으로 작용함.

Ⅱ. 수입품목 현황 및 특성 분석

항목

내용

HS 코드71 (Pearls, precious stones, metals, coins)
주요 세부분류7102(다이아몬드), 7108(금), 7110(백금), 7113(보석세공품), 7118(코인·메달)
2024년 수입규모약 191억 USD (+8.9% YoY)
주요 수요처금융투자(40%), 명품주얼리(35%), 산업용(20%), 기타(5%)
주요 특징투자수요 + 럭셔리 소비 증가, 반도체·의료용 금속 수요 동반

투자자산 + 산업재로 이중 기능 수행.
글로벌 금리하락 기대감 → 금·보석 수입 확대 기조 유지.

Ⅲ. 주요 수입국 및 공급망 특성

순위

수입국

비중(%)

특징 및 리스크

1스위스34.2정제 금·귀금속 중심
2홍콩22.5다이아몬드·보석 가공 유통허브
3남아프리카공화국9.8금광산 원자재 공급
4일본8.3귀금속 부품·공예품
5미국7.1보석세공품·코인
6인도6.0다이아몬드 절삭·세공
7영국4.3금괴·금화 거래 중심
기타7.8캐나다·UAE 등 다양 

상위 5개국 비중 81.9%,
스위스–홍콩–남아공 중심 글로벌 귀금속 공급망 형성.

Ⅳ. 국가별 수입 비중

국가

수입 비중(%)

Δ비중(전분기)

특징

스위스34.2▲0.5금괴·정제귀금속 수입 지속
홍콩22.5▼0.4고가보석·다이아몬드 조정
남아공9.8▲0.2광산공급 안정화
일본8.3=정밀세공제품 중심
미국7.1▲0.3코인·수집품 증가
인도6.0=세공보석 수입 확대
영국4.3▼0.3금화거래 둔화
기타7.8=UAE·캐나다산 다변화

스위스·남아공 중심의 ‘안정형 귀금속 공급망’ 지속.
홍콩발 고가 보석 수입은 약보합세.

Ⅴ. 수입량 및 품목별 구조

구분

2023 Q3

2024 Q3

증감(%)

특징

금(Gold)94 t102 t+8.5투자 및 산업용 병행
은(Silver)1,410 t1,460 t+3.5전자·광학용 수요 증가
백금(Platinum)9.2 t9.8 t+6.5촉매·수소산업 관련
보석류98 Mct107 Mct+9.2럭셔리 수요 반등
코인·메달15.4 M개16.7 M개+8.4수집·투자용 확대

귀금속 전반 상승세, 특히 금·보석류 중심의 고부가 수입 구조 강화.

Ⅵ. 단가 및 가격 동향

품목

2024 Q1 (USD/kg)

2024 Q2

2024 Q3

QoQ Δ(%)

금 (Gold)63,80064,50066,100+2.5
은 (Silver)740755780+3.3
백금 (Platinum)29,20030,10030,600+1.7
다이아몬드14,20014,00013,800▼1.4

금·은은 상승, **보석(다이아몬드)**은 고가시장 조정으로 소폭 하락.

Ⅶ. 계절별 패턴

분기

특징

변동성(0–1)

Q1명절·결혼 시즌 수입 확대0.70
Q2럭셔리브랜드 신규라인 수입0.63
Q3금리전환 기대, 투자 수입 증가0.77
Q4리테일·코인 수요 집중0.82

귀금속류는 Q3~Q4 수입이 집중되는 하반기형 품목.

Ⅷ. 관세·비관세 장벽 및 대체산업

항목

내용

관세대부분 FTA 무관세, 일부 금속제품 소량 부과
비관세AML(자금세탁방지)·원산지인증·윤리채굴 보고 의무 강화
국내 대체한국조폐공사(KOMSCO), LS니꼬동제련 등
과제귀금속 회수·정련 기술 내재화, 탄소배출 저감 인증 확대
Ⅸ. ESG·Net Zero 연관도

지표

평가

해석

탄소배출 영향제련·정련 과정 고탄소 산업
ESG 리스크채굴 지역의 인권·환경 이슈
Net Zero 기여재활용 금속 시장 성장세
순환경제리사이클 금·은 정련 기술 발전

리사이클 귀금속이 ESG 대응 핵심 전략으로 부상.

Ⅹ. 국가별 리스크 지수

수입국

정책(0–1)

물류(0–1)

Trust Index

스위스0.210.230.87
홍콩0.330.350.72
남아공0.340.330.74
일본0.250.240.84
미국0.270.280.81
인도0.310.320.77
영국0.240.260.83

평균 Trust Index ≈ 0.80(우수) — 스위스·일본·영국 안정 공급, 홍콩 리스크 존재.

Ⅺ. 주요 바이어 및 산업 연결고리

산업

주요 기업

수입 품목

특징

금융투자한국은행 · 신한금융 · 삼성증권금괴·코인금 투자자산화
주얼리·명품한화갤러리아 · 신세계인터내셔날보석·세공품럭셔리 소비 중심
산업용금속삼성전자 · SK하이닉스금·은·백금반도체 패키징용
공예·수집품한국조폐공사(KOMSCO)금화·메달수출 및 한정판
Ⅻ. AI 무역지수 & 3개월 예측

지표

현재(2025 Q3)

전분기 대비(Δ%)

해석

ΔImport+7.4%▲1.2금리완화 기대·투자 확대
ΔPrice+2.3%▲0.8금·은 단가 상승
ΔCountryShare+0.3%▲0.2스위스·남아공 비중 증가
Trust Index0.80=공급망 안정
Forecast (3M)+7.8%연말 수요 확대 예상

요약: 귀금속·보석 수입은 강한 상승 국면(Strong Positive).
스위스·홍콩 중심 수입 구조, 금리 인하 기대 + 럭셔리 소비 회복이 핵심 동력.

ⅩⅢ.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구분

제언

기대 효과

1윤리채굴(Ethical Mining) 인증제 도입ESG 기반 무역 신뢰 확보
2귀금속 회수·정련 시스템 고도화수입의존도 감소
3AI 실시간 금속가격 연동 조달시스템거래 안정화
4K-주얼리 해외 전시·수출 인센티브내수-수출 연계 확대
5블록체인 기반 귀금속 유통 추적위조·세탁 방지 강화
ⅩⅣ. 종합 결론

HS 71 (Pearls, Precious Stones, Metals, Coins)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7.4%, ΔPrice +2.3%, Trust 0.80, Forecast (3M) +7.8%
투자자산 + 럭셔리 소비 동시 확대로 수입 강세 지속.
스위스·홍콩 중심 공급망은 안정적이나, ESG·윤리채굴 이슈 대응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