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구분

주요 내용

근거 및 출처

글로벌 에너지 시장 상황유가 및 정제마진 변동폭 확대, 중동 리스크 상존Reuters (2025.3), IEA 보고서
한국 에너지 정책원자력 및 신재생 확대, 탄소감축 목표 상향산업부 2050 Net Zero 로드맵
수입의존도에너지 자급률 약 2.5%, 원유·석유 100% 수입 의존KESIS 에너지통계(2024)

한국은 원유·정제유 및 LNG 등 화석연료 수입의존도가 높으며, 국제유가 및 환율 변동에 민감합니다.
2025년 3분기 현재, OPEC+ 감산 정책 및 유럽 재고 감소가 유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Ⅱ. 수입품목 현황 및 특성 분석

항목

세부 내용

데이터 출처

HS 코드27 (광물성 연료·오일 및 증류제품)UN Comtrade
주요 세부품목원유 (2709), 정제유 (2710), 액화석유가스 (2711)관세청 통계
국내 주요 수입 기업SK에너지, GS칼텍스, 에쓰오일, 현대오일뱅크산업연감
수입 규모2024년 약 1,454.7억 USD (전체 수입의 25%)Asian Exim Banks(2025)

HS27 군은 한국 총 수입의 25% 내외를 차지하며, 정유·석유화학 산업의 핵심 투입요소입니다.

Ⅲ. 주요 수입국 및 공급망 특성

순위

수입국

점유율(%)

특징 및 리스크

1사우디아라비아27장기계약 기반, 공급 안정적
2미국22셰일오일 가격 경쟁력, 물류비 상대적 안정
3쿠웨이트15OPEC 공급 조절 정책 영향
4러시아9제재 리스크, 대체 수입선 확보 필요
5인도네시아7동남아 해상 물류비 증가

상위 5개국이 총 수입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편중도가 높습니다. 특히 러시아 및 중동 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단기 변수로 작용합니다.

Ⅳ. 수입량 및 공급 안정성

구분

2023 Q3

2024 Q3

증감(%)

비고

원유 (천 배럴)273,000267,500-2.0국내 정제설비 감산 영향
정제유 (천 톤)19,50020,400+4.6LNG 대체 수요 일부 증가
LNG (천 톤)40,70038,200-6.1원자력 대체효과

국내 정유 가동률은 평균 87%로 전년대비 1.5%p 하락. 원전 및 신재생 확대에 따른 수입 감소세가 감지됩니다.

Ⅴ. 단가 및 가격 동향

구분

2024 Q1

Q2

Q3

전분기 대비(%)

Brent 유가 (USD/bbl)82.184.388.9+5.5
정제마진 (USD/bbl)6.88.29.4+14.6
평균 CIF 단가USD 756 / 톤USD 812 / 톤USD 845 / 톤+4.1

국제유가와 정제마진이 상승세로 전환되면서 국내 수입단가 상승압력이 존재합니다.

Ⅵ. 계절별 패턴

계절

특징

수입 변동성 지수 (0–1)

겨울 (12–2월)난방용 수요 증가, 수입 집중0.87
봄 (3–5월)정기보수 및 감산기0.42
여름 (6–8월)전력피크 대비 수입 확대0.71
가을 (9–11월)비수기 완만한 수입0.55

전통적 계절 패턴이 유지되고 있으며, 특히 겨울철 LNG·보일러연료 수입 집중이 뚜렷합니다.

Ⅶ. 관세·비관세 장벽 및 대체산업

항목

내용

관세율기본 3%, FTA 국가 대부분 무관세
비관세 요인환경규제, 탄소세, 국가별 수입 쿼터
국내 대체 요소태양광·풍력 발전, 수소 연료전지

관세보다는 환경규제 및 탄소가격이 사실상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Ⅷ. ESG·Net Zero 연관도

지표

수치 / 등급

해석

탄소배출 집약도1.0 (최고 리스크)직접 배출 품목으로 ESG 리스크 매우 높음
ESG 적합성Low전환연료 필요성
Net Zero 전환 기여-감축 대상

화석연료 품목으로 ESG 리스크가 높으며, 탄소배출권 거래제 및 CBAM (탄소국경조정세) 직접 영향 대상입니다.

Ⅸ. 국가별 리스크 지수

수입국

정치·경제 리스크 (0~1)

물류 리스크 (0~1)

종합 Trust Index

사우디아라비아0.480.360.58
미국0.210.290.82
러시아0.760.510.41
인도네시아0.330.420.67
쿠웨이트0.440.370.61

평균 Trust Index = 0.62 (보통). 미국 비중 확대 시 안정성 상승 효과 기대.

Ⅹ. 주요 바이어 및 산업 연결고리

산업

주요 기업

수입 비중

비고

정유SK 에너지, GS칼텍스52%정제원료
석유화학롯데케미칼, LG화학23%나프타 등 중간재
발전 (LNG)한국가스공사, 민자발전20%전력용 연료

정유·석유화학 산업이 국가 경제에 직결되어 있으며, 수입 불안정이 국가 물가 및 산업생산에 파급됩니다.

Ⅺ. AI 무역지수 및 3개월 예측

지표

현재 (2025 Q3)

전분기 대비(Δ%)

해석

ΔImport-0.4 %▼ 0.2수입량 정체
ΔPrice+4.1 %▲ 1.9유가 상승
ΔCountryShare-0.8 %▼ 0.4사우디 비중 확대
Trust Index0.62=중립 수준
Forecast (3M)+2.7 %겨울철 난방 수요 반영

요약: 단기적으로 수입량은 소폭 증가하나, 공급불안 및 가격리스크 상존. 정책적 수입분산 및 에너지전환 가속이 필요.

Ⅻ.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구분

제언 내용

기대 효과

1수입선 다변화 (미국·동남아 확대)공급 안정성 ↑
2장기 공급계약 + 물류 헤지 전략가격 리스크 ↓
3탄소세·CBAM 대응 연료전환ESG 리스크 ↓
4AI 기반 무역지수 상시 모니터링예측 정확도 ↑
5국가 비축유 운영 정책 고도화수급 안정성 ↑
ⅩⅢ. 종합 결론

한국 수입 품목 – 광물성 연료·오일 Trade Index (2025 Q3)는 
ΔImport = -0.4 %, ΔPrice = +4.1 %, TrustIndex = 0.62 (중립)로 평가됩니다.
에너지전환 가속 및 수입선 다변화가 향후 핵심 정책 과제이며, AI 루프 예측에 따르면 향후 3개월간 소폭 상승세가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