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시장 개요
  • 전 세계 ‘리필스테이션(Refill Station)’ 시장은 연평균 +24% 성장, 국내 시장은 2025년 약 1,100억 원(+31% YoY).
  • 플라스틱 감축·탄소중립 정책 확산과 함께 환경부의 “무포장제품 판매특례” 시범사업 지속 → 편의점·대형마트·지자체로 확대.
  • 프랜차이즈 확산 요인: ① 리테일 공간 소형화 ② 리필 인증제도 안착 ③ 지속가능 소비층 (MZ + 고소득층) 확대.
  • 대표 사례: ‘알맹상점’, ‘마켓제로’, ‘에코버(Ecover)’, ‘예. NoChemiLife 캠페인형 리필존’.
Ⅱ. 고객 세그먼트 및 수요 구조

구분

주요 고객군

소비 특성 및 동기

MZ 친환경 소비자20~40대 여성 · 1~2인 가구ESG · 제로웨이스트 라이프스타일 실천
로컬 거주민 및 가족층아파트 주변, 생활밀착형 상권실속 · 리필용기 보유, 가성비 중시
지자체 · 학교 · 기관공공 리필존 운영ESG 지표 · 환경교육 결합
기업 복지형 B2B사내 카페·구내식당 · 복지관“리필형 기프트/CSR 프로그램” 운영
Ⅲ. 공급망 및 파트너 네트워크

구분

주요 파트너

역할

제품공급자천연세제·식초·곡물 소분기업 (마켓허브·오가닉팜)OEM · 리필 단위 납품
용기/포장재리유저블 용기기업, 유리·알루미늄제조사순환 포장재 공급
IT/결제시스템QR 무게계산 POS, IoT 리필계량기무인결제 · 용기추적
지자체·기관서울시·경기도 환경정책실입점 보조금·ESG 지원
플랫폼NoChemiLife · MarketHub ESG데이터 수집·소비패턴 분석
Ⅳ. 리필 제품 카테고리 및 시장 비중

제품군

주요 품목

비중(%)

생활세제류주방세제, 세탁세제, 섬유유연제34
개인용품샴푸, 바디워시, 핸드솝22
식품류곡물, 견과, 조미료, 커피빈18
화장품류토너, 클렌저, 스킨케어베이스12
기타 생활재청소용액, 디퓨저, 주방소모품14
Ⅴ. 프랜차이즈 운영 모델

주체

주요 수익 항목

평균 마진(%)

비고

본사(HQ)브랜드 로열티 5~8%, OEM 납품 마진 20%브랜드·ESG 인증 관리 
가맹점리필 제품 판매, 용기 보증금, 멤버십25~35소형 10~20평 형태
협력사용기 세척·회수 서비스5~10순환경제 파트너
지자체/B2B입점 보조금·CSR 매출가변형공공사업 결합형
Ⅵ. 기술·운영 혁신 포인트
  • IoT 리필계량기: 무게·단가 자동계산, 용기 QR 인증.
  • AI 수요예측: 요일·날씨별 방문 패턴 기반 재고관리.
  • 무인결제 스테이션: POS + 카드 + QR 결제 일체형.
  • 탄소 데이터 루프: 리필 당 절감 CO₂ · 플라스틱 중량 자동 계산.
  • 구독형 리필박스: 정기배송 + 공병 회수 + 포인트 적립 프로그램.
Ⅶ. ESG · 규제 · 인증 환경

구분

내용

환경(E)플라스틱 재사용율 20%↑ 목표, 용기 보증제 의무화 논의 중
사회(S)지역 사회 재활용센터·시니어 고용 연계
거버넌스(G)리필 원산지·배합표시 기준 신설 (2025.1 시행)
인증제도환경부 ‘무포장제품 판매인증’ · 탄소중립제품 마크
Ⅷ. 시장 트렌드 및 경쟁 구도

흐름

내용

1. 편의점형 리필존 확대CU·GS25 환경부 시범사업 확대(도시권 중심)
2. 브랜드 콜라보형이니스프리 · LG생활건강 리필스테이션 입점
3. 리필 + 리페어 결합세제 + 수선 · 리페어 복합형 매장
4. B2B 모델 확산지자체·학교 ESG 조달 프로젝트 연동
5. 모바일 구독화용기 회수 + 배송 + 포인트 통합 앱 등장
Ⅸ. 성장 예측 (2025~2027)

지표

Δ(예측)

해석

시장 규모+28%/년 성장공공 리필존 확대 · MZ 소비층 확장
리필 제품 종류+35% 증가식품 · 뷰티 분야 확대
구독형 리필 이용률+20%pO2O 앱 연동 서비스 보급
ESG 참여 브랜드+40%기업 CSR 프로그램 유입
플라스틱 절감량연 +2,500톤Zero Plastic 인증 확산
Ⅹ. 리스크 및 대응전략

리스크

영향

대응

위생 · 품질 문제리필제품 신뢰 저하QR 추적 · 살균 프로세스 표준화
초기 투자 비용가맹 진입 저해지자체 보조금 · CSR 펀딩 활용
입지 제약상권 한정아파트 · 공공청사형 소형 포맷
고객 교육 부족이탈률 ↑체험·보상 프로그램 확대
법규 개정 지연신사업 보류 리스크환경부 시범사업 참여 선점
Ⅺ. 투자·수익 지표 (예시)

항목

수치 (평균)

비고

초기 투자비₩8천만 ~ ₩1.8억시설 · POS · 설비
월평균 매출₩3천만 ~ ₩6천만구독형 포함
순이익률22 ~ 30%공공 지원 시 상향
회수기간18 ~ 24개월CSR 수익 병행
ESG 보조금지자체 최대 ₩3천만시범사업 형태
Ⅻ. 결론 및 시사점

1️⃣ 핵심 성공요인: 신뢰 (위생·표시) + 편의 (무인·모바일) + ESG 브랜딩.
2️⃣ 시장 확장축: 공공 리필존 → 생활상권 → 기업 복지·CSR형 전환.
3️⃣ 비즈니스 기회: 리필 + 리페어 + 구독형 O2O 서비스 결합.
4️⃣ 프랜차이즈 전략: 표준 리필장비 패키지 + 지자체 파트너십 + 데이터 ESG 리포트화.

한줄 요약
친환경 리필스테이션 프랜차이즈는 “ESG 데이터화된 생활밀착형 소매 혁신”으로, 2025~2027년은
무인 운영·B2B 확장·구독형 모델이 성장을 주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