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구분 | 주요 내용 | 시사점 |
|---|---|---|
| 글로벌 경기 | 제조업 둔화 완화, 전지·반도체 수요 회복 | 고순도·특수 무기화합물 수입 확대 |
| 전략 품목 | 반도체용 고순도 가스(NF₃, WF₆ 등), 배터리 전해질용 LiPF₆·LiFSI 전구체 | 가격·공급 민감도 높음 |
| 규제 | REACH/K-REACH 강화, 유해물질 관리 강화 | 인증·데이터 요구 확대, 납기 리스크 |
| 지정학 | 對中 의존 품목의 리스크 관리 필요 | 대체 공급선·국산화 병행 필요 |
Ⅱ. 수입품목 현황 및 특성 분석
항목 | 내용 |
|---|---|
| HS 코드 | 28 (Inorganic chemicals; inorganic or organic compounds of precious metals, rare earths, radioactive elements) |
| 핵심 세부분류 | 2804(수소·불소·염소 등), 2811(무기산), 2825(금속산화물), 2834(질산염), 2853(귀금속 화합물) 등 |
| 2024 수입규모(개략) | 약 260~270억 달러 |
| 수요처 | 배터리(전해질·염), 반도체(고순도 가스), 촉매·정제, 제약·정밀소재 |
범용 기초무기(산·염·염기)와 고순도 특수가스·귀금속 화합물의 이중 구조. 후자가 성장 견인.
Ⅲ. 주요 수입국 및 공급망 특성
순위 | 수입국 | 비중(%) | 특징·리스크 |
|---|---|---|---|
| 1 | 중국 | 32 | 범용 무기염·산 중심, 가격 경쟁력/ESG 편차 |
| 2 | 일본 | 21 | 고순도 시약·특수가스·첨가제 |
| 3 | 미국 | 18 | 반도체/제약용 고부가 소재 |
| 4 | 독일 | 9 | 촉매·귀금속 화합물·시약 |
| 5 | 인도 | 7 | 범용 무기화합물·제약소재 |
상위 5개국 합계 ~87%. 중·일·미 3축이 시장 지배.
Ⅳ. 수입량 및 공급 안정성
구분 | 2023 Q3 | 2024 Q3 | 증감(%) | 메모 |
|---|---|---|---|---|
| 기초무기(산·염·염기) | 3,42M t | 3,51M t | +2.7 | 범용 수요 안정 |
| 특수가스(반도체) | 78 kt | 86 kt | +10.3 | 고순도 수요 확대 |
| 배터리 전해질·염 | 214 kt | 241 kt | +12.6 | Li·F계 화합물 중심 |
| 귀금속 화합물·촉매 | 29 kt | 31 kt | +6.9 | 정제·케미컬 촉매 |
특수가스/전지용 중심의 증가세가 두드러짐.
Ⅴ. 단가 및 가격 동향
품목 | 2024 Q1 | 2024 Q2 | 2024 Q3 | QoQ |
|---|---|---|---|---|
| 고순도 NF₃ (USD/t) | 34,800 | 35,600 | 36,400 | +2.2% |
| LiPF₆ (USD/t) | 27,500 | 28,200 | 29,000 | +2.8% |
| 황산(98%) (USD/t) | 138 | 141 | 142 | +0.7% |
| 귀금속 촉매혼합물 | 82,000 | 83,600 | 85,200 | +1.9% |
고순도/귀금속 계열이 가격 상방을 주도.
Ⅵ. 계절별 패턴
분기 | 특징 | 변동성(0–1) |
|---|---|---|
| Q1 | 재고조정·정기보수 | 0.42 |
| Q2 | 생산 가동률 상승 | 0.60 |
| Q3 | 전자·배터리 피크 | 0.73 |
| Q4 | 회계마감·프로젝트 수주 | 0.55 |
Ⅶ. 관세·비관세 장벽 및 대체산업
항목 | 내용 |
|---|---|
| 관세 | 다수 품목 FTA 무관세/경감, 일부 위험물 추가요건 |
| 비관세 | REACH/K-REACH 등록, 유해물질(SVHC) 규제, 위험물 운송 규정 |
| 국내 대체 | 특수가스/전해질 국산화 확대, 귀금속 회수·정제 재활용 |
| 과제 | 고순도 정제·불순물 관리, 데이터 패키지 표준화, 다중 소싱 |
Ⅷ. ESG·Net Zero 연관도
지표 | 평가 | 해석 |
|---|---|---|
| 탄소·환경 영향 | 중 | 기초무기 제조/운송 배출, 폐액·폐산 처리 이슈 |
| ESG 리스크 | 중~상 | 일부 국가 환경·노동 기준 편차 |
| Net Zero 기여 | 중~상 | 반도체 고효율 공정·배터리 효율 향상에 기여 |
| 순환경제 | 상 | 귀금속 촉매 회수·재정제 가치 큼 |
Ⅸ. 국가별 리스크 지수
수입국 | 정책/환경(0–1) | 물류(0–1) | Trust Index |
|---|---|---|---|
| 중국 | 0.46 | 0.33 | 0.64 |
| 일본 | 0.24 | 0.25 | 0.81 |
| 미국 | 0.22 | 0.28 | 0.82 |
| 독일 | 0.25 | 0.27 | 0.79 |
| 인도 | 0.32 | 0.35 | 0.71 |
평균 Trust Index ≈ 0.75(양호) — 고부가 품목은 선진국 비중 확대가 안정성 제고.
Ⅹ. 주요 바이어 및 산업 연결고리
산업 | 주요 기업 | 수입 품목 | 비고 |
|---|---|---|---|
| 반도체 | 삼성전자·SK hynix·장비사 | NF₃, WF₆, SiH₄ 등 | 초고순도 가스/전구체 |
| 2차전지 | LGES·삼성SDI·포스코퓨처엠 | LiPF₆/LiFSI 전해질 전구체, Li염 | 고순도 F계 무기화합물 |
| 정유·촉매 | SK·현대오일·한화토탈 | 귀금속 촉매 화합물 | 회수·재정제 연계 |
| 제약·정밀소재 | 대형 제약·소재사 | 시약·무기염·산 | 고순도/트레이서블 요구 |
Ⅺ. 산업 의존도 요약
항목 | 의존도 | 동향 |
|---|---|---|
| 특수가스(반도체) | 高 | 국산화 진행·복수벤더 확대 |
| 배터리 전해질 전구체 | 高 | Li·F계 원료 해외의존 큼 |
| 귀금속 화합물 | 中~高 | 회수·재정제 비중 확대 추세 |
| 범용 기초무기 | 中 | 내수+수입 병행 안정화 |
Ⅻ. AI 무역지수 & 3개월 예측
지표 | 현재(2025 Q3) | 전분기 대비(Δ%) | 해석 |
|---|---|---|---|
| ΔImport | +3.4% | ▲1.1 | 반도체·배터리 특수 수요 견인 |
| ΔPrice | +2.2% | ▲0.6 | 고순도/귀금속 계열 상방 |
| ΔCountryShare | +0.5% | ▲0.3 | 미·일 비중 확대(안정성↑) |
| Trust Index | 0.75 | = | 양호(선진국 소싱 증가) |
| Forecast (3M) | +4.0% | ▲ | 연말 설비가동/프로젝트 반영 |
요약: HS28 수입은 완만한 상승(Positive-Neutral). 고순도 특수가스·전해질 전구체·귀금속 화합물이 성장을 주도하며, 복수벤더·국산화+재활용이 핵심 대응.
ⅩⅢ.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구분 | 제언 | 기대 효과 |
|---|---|---|
| 1 | 고순도 특수가스·전해질 국산화 R&D 펀드 | 전략품목 자립·리드타임 단축 |
| 2 | REACH/K-REACH 데이터 패키지 공동화 | 인증비·시간 절감 |
| 3 | 귀금속 촉매 회수·정제 인프라 확충 | 비용·ESG 동시 개선 |
| 4 | 다중소싱·국가 리스크 헷지(미·EU·일) | 공급망 안정성 제고 |
| 5 | AI 수입지수 기반 조달·재고 최적화 | 원가·운영 효율 향상 |
ⅩⅣ. 종합 결론
HS28 (무기화학제품·귀금속 화합물)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3.4%, ΔPrice +2.2%, Trust 0.75, Forecast(3M) +4.0%
→ 배터리·반도체·촉매 중심의 고부가 수입 확대 국면.
규제·ESG 요건 강화에 대응해 국산화·재활용·복수벤더 전략을 병행할 것을 권고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