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분 | 주요 내용 | 시사점 |
|---|---|---|
| 글로벌 경기 | 제조업 회복·친환경산업 확대 | 전기차·신재생 수요로 구리 수입 증가 |
| 원자재 가격 | LME 구리 톤당 9,800 → 10,200 USD 수준 | 고가 안정세, 원가 부담 요인 |
| 환율·물류비 | 환율 상승·운송비 완화 | 단기 비용 부담 제한적 |
| ESG·탄소규제 | 구리 제련 에너지 다소 탄소집약적 | 저탄소·재활용 구리 선호 강화 |
구리는 전기·전자 및 친환경산업의 ‘핵심 금속’으로, 탄소중립 시대의 전략 자원으로 부상.
항목 | 내용 |
|---|---|
| HS 코드 | 74 (Copper and articles thereof) |
| 주요 세부분류 | 7402(정련 구리 및 합금), 7408(전선), 7411(파이프), 7418(기타제품) |
| 2024년 수입규모 | 약 123 억 USD (+5.8%) |
| 주요 수요처 | 전기전자(45%), 자동차 및 전장(25%), 건설(15%), 기계·조선(10%), 기타(5%) |
| 구조 | 정제구리 → 가공재 → 전선 및 부품 수입 순으로 연결 |
전기차·2차전지·신재생에너지 설비의 급성장이 구리 수입 확대를 주도.
순위 | 수입국 | 비중(%) | 특징 및 리스크 |
|---|---|---|---|
| 1 | 칠레 | 29.6 | 세계 최대 광산 공급원, 고품질 정제구리 |
| 2 | 일본 | 20.4 | 고순도 구리판·전선용 소재 |
| 3 | 중국 | 16.7 | 반제품 및 가공재 |
| 4 | 인도네시아 | 9.8 | 제련능력 확대, 신규 공급처 부상 |
| 5 | 베트남 | 7.1 | 전선·가공재 |
| 6 | 페루 | 5.8 | 광산 및 정제 공급 |
| 7 | 미국 | 4.2 | 고급 합금·산업소재 |
| 기타 | 6.4 | 캐나다 등 다국적 공급 |
상위 5개국 비중 약 83.6%, 남미–일본–동남아 3축 공급망으로 구성.
리스크: 칠레 광산 파업·환경규제, 중국 내수 소비 급증 → 수출 감소 가능성.
국가 | 수입 비중(%) | Δ비중(전분기) | 특징 |
|---|---|---|---|
| 칠레 | 29.6 | ▼0.5 | 광산 파업 영향 |
| 일본 | 20.4 | ▲0.6 | 전선·고순도판 중심 |
| 중국 | 16.7 | ▼0.4 | 내수확대 영향 |
| 인도네시아 | 9.8 | ▲0.4 | 신규 정련소 공급 |
| 베트남 | 7.1 | ▲0.2 | 가공재 수입 증가 |
| 페루 | 5.8 | = | 안정적 광산 공급 |
| 미국 | 4.2 | = | 특수합금 · 부품 |
| 기타 | 6.4 | ▼0.3 | 다변화 진행 중 |
일본·동남아 비중 상승, 남미 광산 리스크 완화 노력 병행.
구분 | 2023 Q3 | 2024 Q3 | 증감(%) | 특징 |
|---|---|---|---|---|
| 정제 · 비가공 구리 | 2.31 Mt | 2.48 Mt | +7.4 | 산업회복 및 전력수요 |
| 가공재(판·봉·관) | 0.89 Mt | 0.95 Mt | +6.7 | 전선·자동차소재 |
| 전선 및 케이블 | 0.46 Mt | 0.49 Mt | +6.5 | EV·인프라 확대 |
| 구리스크랩 (재활용) | 0.53 Mt | 0.56 Mt | +5.7 | 순환경제 · 탄소감축형 수요 |
정제 구리 + 가공재 수입 쌍두 성장, 특히 전선용 수요 확대 뚜렷.
품목 | 2024 Q1 (USD/t) | 2024 Q2 | 2024 Q3 | QoQ Δ(%) |
|---|---|---|---|---|
| 정제 구리 | 9 430 | 9 780 | 10 120 | +3.5 |
| 전선 용판재 | 10 960 | 11 180 | 11 350 | +1.5 |
| 합금·관류 | 9 840 | 9 970 | 10 100 | +1.3 |
| 스크랩 (재활용) | 6 420 | 6 600 | 6 780 | +2.7 |
전력비·탄소세 요인으로 전체 단가 완만한 상승.
분기 | 특징 | 변동성 (0–1) |
|---|---|---|
| Q1 | 재고조정기 | 0.45 |
| Q2 | 제조·수출 확대기 | 0.60 |
| Q3 | 전력 · 건설 피크 | 0.74 |
| Q4 | 납기 조정 · 비축기 | 0.57 |
항목 | 내용 |
|---|---|
| 관세 | 대부분 FTA 무관세 적용, 스크랩 일부 예외 |
| 비관세 | 환경·광산 윤리 기준 요구 (ESG Certification) |
| 국내 대체 | LS MnM, 고려아연 등 국내 정련능력 확대 |
| 과제 | 저탄소 제련기술, 순환 · 재활용 체계 강화 |
지표 | 평가 | 해석 |
|---|---|---|
| 탄소배출 영향 | 상 | 제련 전력소모 高 |
| ESG 리스크 | 중 | 일부 남미 광산 환경분쟁 |
| Net Zero 기여 | 상 | 전기차·재생에너지 필수소재 |
| 순환경제 | 상 | 스크랩 수입 및 재활용 확대 활발 |
수입국 | 정책(0–1) | 물류(0–1) | Trust Index |
|---|---|---|---|
| 칠레 | 0.32 | 0.30 | 0.78 |
| 일본 | 0.22 | 0.24 | 0.84 |
| 중국 | 0.36 | 0.35 | 0.70 |
| 인도네시아 | 0.28 | 0.30 | 0.76 |
| 베트남 | 0.30 | 0.31 | 0.75 |
| 페루 | 0.33 | 0.32 | 0.77 |
| 미국 | 0.25 | 0.28 | 0.81 |
평균 Trust Index ≈ 0.77(양호) – 일본·남미 공급선 안정, 중국 리스크 존재.
산업 | 주요 기업 | 수입 품목 | 특징 |
|---|---|---|---|
| 전기전자 | 삼성전자 · LG전자 | 고순도 구리판·케이블 | 반도체 · 전장용 |
| 전기차 · 배터리 | 현대차 · LGES · SK온 | 전선 · 버스바 · 집전체 | 수입 비중 高 |
| 건설 · 조선 | 현대ENG · 삼성중공업 | 관류 · 판재 | 플랜트용 |
| 전력설비 | 한전 · 효성중공업 | 케이블 · 트랜스코어 | 안정적 수입 유지 |
지표 | 현재(2025 Q3) | 전분기 대비 (Δ%) | 해석 |
|---|---|---|---|
| ΔImport | +5.6% | ▲0.8 | 전기차 · 전력 수요 확대 |
| ΔPrice | +3.1% | ▲0.6 | LME 시세 상승 영향 |
| ΔCountryShare | +0.4% | ▲0.2 | 일본 · 인도네시아 비중 증가 |
| Trust Index | 0.77 | = | 안정적 공급망 |
| Forecast (3M) | +6.0% | ▲ | 신재생 · 전력망 투자 지속 |
요약: HS 74 수입은 견조한 상승 국면(Positive).
전기차·재생에너지 설비 확대가 구리 수입의 핵심 동력이며, 남미 + 일본 + 동남아 3축 공급망이 안정적.
구분 | 제언 | 기대 효과 |
|---|---|---|
| 1 | 저탄소 · 재활용 구리 인증제 도입 | CBAM · ESG 대응 강화 |
| 2 | 구리스크랩 회수 · 정제 인프라 확대 | 수입 의존도 완화 |
| 3 | LME · AI 가격연동 조달시스템 구축 | 원가 안정화 |
| 4 | 남미 광산 공급선 협력 MOU 체결 | 리스크 분산 |
| 5 | 전기차 · 에너지용 구리소재 R&D 지원 | 산업 고부가 화 촉진 |
HS 74 (Copper and Articles Thereof)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5.6%, ΔPrice +3.1%, Trust 0.77, Forecast (3M) +6.0%
→ 전기차·전력·신재생 인프라 확대로 지속적 수입 성장세,
저탄소 정련 · 재활용 구리로의 전환이 미래 핵심 전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