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이크 안 된 은행 CCTV, 분실 발생 시 즉시 확인 못해

은행은 고객의 자산과 개인정보를 동시에 다루는 만큼 CCTV 운영과 관련해 늘 민감한 상황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특히 창구나 ATM에서 사고가 발생했을 때 CCTV 열람 요청이 자주 발생하는데, 영상을 제공하면 개인정보보호법 위반 위험이 따르고, 거부하면 민원이나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결국 은행도 보여드려도 문제, 보여드리지 않아도 문제인 난처한 입장에 놓여 있는 것입니다.

참조) 대한민국 은행 수는 2024년 기준으로 시중은행 5곳, 외국계 시중은행 2곳, 인터넷전문은행 3곳 등 10곳이며, 이 외에도 지방은행, 특수은행 등이 있습니다. 2020년 이후 비대면 거래 확대로 은행 지점 수는 감소하는 추세이며, 2024년 1분기 말 기준으로는 시중은행 4곳의 지점만 2,726개였습니다.
 


이 문제는 곧바로 은행의 신뢰로 이어집니다. 창구에서 통장, 지갑 등 현금 분실이 발생했을 때 즉시 CCTV를 확인하지 못하면 고객 불편과 불신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ATM 사용 장면을 부주의하게 제공할 경우, 다른 고객의 얼굴이나 계좌 정보가 노출되어 심각한 개인정보 침해로 이어질 수 있으며, 이는 금융기관의 이미지와 평판을 크게 훼손할 수 있습니다. 더구나 은행은 금융감독원의 감독을 받기 때문에 법적 리스크가 발생하면 손해배상뿐 아니라 제재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해결 솔루션 : CCTV AI 모자이크

AI 모자이크 시스템은 이러한 상황의 해법이 될 수 있습니다. 창구나 ATM 영상을 저장 단계부터 자동으로 모자이크 처리해 계좌번호나 서류의 개인정보, 주변 고객의 얼굴 등을 즉시 가려줌으로써 은행은 법적 위험 없이 영상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은 빠른 문제 해결과 편의를 보장받고, 은행은 개인정보보호와 신속 대응이라는 두 가지 과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습니다.
 

특허 10-2721168호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실시간 모자이크 시스템’ 시연 장면
 

결국 은행에서의 CCTV AI 모자이크 시스템은 단순한 보안 장치를 넘어 고객 신뢰를 지키고 법적 리스크를 줄이는 핵심 관리 도구라 할 수 있습니다. 창구와 ATM이라는 민감한 공간에서 고객 자산과 안전을 동시에 보장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장치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최적의 시스템이 바로 AI 모자이크 ‘삐삐’입니다.
 

동적 움직임 추적
 

분야별 개인정보보호 딜레마
뉴스
문의

mosaic.ai 플랫폼에 소개된 관련 제조사 및 제품 비즈니스를 해외에 소개하고 연결합니다. 특히, ADSOFT의 CCTV AI 모자이크 비즈니스는 가장 최적의 개인정보보호 솔루션 사례입니다. 바이어의 많은 관심 부탁 드립니다.

□ 국가별 (분야별) 지사 모집 

> 판매원 : obanglife@naver.com 
제조원 : ceo@adsoft.kr 
> 플랫폼 : mail@mosaic.ai.kr
> 마켓허브 : mail@markethub.org

www.mosaic.ai.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