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 및 모빌리티부품 산업(HS 8708, 8703 등)은 2025~2026년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과 탄소규제 강화라는 복합 압력 속에 있습니다.
특히 미국 IRA(Inflation Reduction Act)와 EU의 CBAM 도입이 친환경차·전기차 부품 중심의 FTA 전략 재조정을 요구합니다.
2026년 이후 내연기관부품 수출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배터리·전력전자·수소모빌리티 부품으로의 구조 전환이 가속화됩니다.
리스크 요인 | 2025~2026 전망 | 영향도(1~5) | 시사점 |
|---|---|---|---|
| IRA 세부지침 | 북미산 조립·부품 비율 강화 | 5 | 북미공장 직접투자·FTA 누적 활용 필요 |
| EU CBAM | 철강·알루미늄 부품 직접 대상 | 4 | 소재 LCA 및 공급망 탄소 데이터 확보 필수 |
| 한-EUFTA 원산지 관리 | 중소 협력사 관리역량 취약 | 3 | RVC 기준 준수 가이드 필요 |
| 지정학 리스크 | 유럽·중동 물류 불확실성 | 3 | 다지역 조달망 구축 필요 |
| 환율·원자재가 | 안정화 추세 | 2 | 장기환헤지·선물계약 병행 |
FTA 활용률은 완성차 약 91%, 부품 약 **83%**로 전반적으로 높지만, **원산지 판정복잡성(PSR·RVC 기준)**과 다층 공급망 구조로 인해
중소 부품기업의 실무 부담이 지속됩니다.
IRA와 북미 지역 생산요건은 “FTA 적용 + 현지화”의 이중전략을 필요로 합니다.
구분 | FTA 적용률(%) | 주요 애로요인 | 대응 포인트 |
|---|---|---|---|
| 완성차 (8703) | 91 | RVC 판정·현지 조달비율 | 북미·EU 조립기지 확대 |
| 핵심부품 (8708) | 83 | 다국부품 원산지 관리 | 자율발급제 활용 |
| 전기차부품 (8507·8544) | 87 | 배터리·모듈 원산지 증빙 | IRA·한미FTA 병행 |
| 2·3차 벤더 | 69 | 문서·관리역량 부족 | 협회공동 시스템 구축 |
FTA 적용으로 대부분의 완성차·부품 품목이 무관세 상태이지만, 보조금·환경규제·조달제도가 새로운 비관세장벽으로 부상했습니다.
미국은 IRA, EU는 CBAM, 중국은 내수보호·국산화 압력이 지속됩니다.
시장 | MFN(%) | FTA 적용(%) | 차이 | 주요 비관세장벽 | 비고 |
|---|---|---|---|---|---|
| 미국 | 2.5~5 | 0 | -2.5~-5 | IRA·조달규정·보조금 조건 | 북미 현지생산 필수 |
| EU | 3~10 | 0 | -3~-10 | CBAM·REACH·Ecodesign | 소재·탄소 관리 강화 |
| 중국 | 15~25 | 5~8 | -10~-17 | 인증·국산화 규제 | 가격 경쟁·내수보호 병행 |
| 베트남·태국 | 10~30 | 0 | -10~-30 | 기술·품질기준·검역 | RCEP 활용 여지 큼 |
자동차 부품 산업은 철강·알루미늄·플라스틱 등 탄소배출 집약 소재가 많아
EU CBAM 직접대상(2026) 에 포함됩니다.
2025년부터 LCA, RE100, 탄소인증제 적용 압력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제도 | 주요 내용 | 시행시기 | 영향도(1~5) | 대응 전략 |
|---|---|---|---|---|
| EU CBAM | 철강·알루미늄 등 직접 과세 | 2026 | 5 | 제품·공정별 LCA 구축 |
| RE100 | 완성차 OEM 주도 | 상시 | 4 | 전력조달·공급망 연계 |
| ISO14067 | 탄소발자국 인증 | 2025 | 3 | 중소협력사 공동컨설팅 필요 |
| ESG 공시 | OEM·부품 연동 | 2025~2027 | 4 | ESG데이터 표준화 |
북미(IRA 대응): 전장부품·모터·배터리모듈 현지조립 및 FTA누적 활용
EU(탄소·CBAM 대응): 경량화부품·재활용소재 중심 R&D 거점 확보
ASEAN(원가 경쟁력): RCEP 활용·로컬 조립라인 구축
한국(글로벌 허브): RE100 제조·AI품질관리 중심 기술 허브 유지
최근 뉴스감성(α)·글로벌동조(β)·섹터심리(λ)를 통합한 AutoLoop 분석 결과,
자동차·모빌리티부품 산업의 3개월 전망은 완만한 회복으로 나타났습니다.
IRA 적용세부 확정 후 북미 수출 증가가 예상되며, EU는 CBAM 대응비용이 일시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변수 | Δ(%) | 해석 |
|---|---|---|
| ΔExport_now | +2.4 | 북미·EU 수요 회복, 전기차부품 중심 |
| ΔImport_now | +1.8 | 배터리·전장부품 수입 확대 |
| ΔPrice_now | +0.3 | 고사양부품·경량소재 단가 상승 |
| ΔSignal_now | +0.028 | 긍정 신호 유지 (IRA·CBAM 기대감) |
| ΔFTAEffect | +0.33 | 관세+보조금 적격 효과 |
| Forecast_3M | +0.51 (상승 예측) | 3개월 내 완만한 회복세 전망 |
분야 | 제언 내용 | 실행 주체 | 기대 효과 |
|---|---|---|---|
| FTA-IRA 정합성 확보 | 북미산 누적요건 구체화 | 산업부·관세청 | 조달 적격성 보장 |
| 중소기업 지원 | 원산지 판정·LCA 컨설팅 확대 | 산업부·KOTRA | 협력사 대응력 강화 |
| CBAM 대응 | 탄소데이터 플랫폼·RE100 인증 확대 | 환경부·지자체 | CBAM비용 절감 |
| 디지털무역 | 차량용 소프트웨어·IP FTA 포함 | 통상교섭본부 | 데이터교역 활성화 |
| 공급망 금융 | ESG+FTA 인증기반 무역금융 | 정책금융공사 | 현금흐름 개선 |
FTA 효과는 ‘관세 절감’을 넘어 IRA·CBAM·ESG 대응력을 좌우하는 수준으로 진화.
Forecast_3M: +0.51 — 완만한 회복 전망, 북미·EU 이원화 대응 필수.
향후 전략 방향:
① 북미 현지화 + 누적활용
② EU CBAM 대비 탄소데이터 구축
③ 중소기업 FTA·LCA 통합지원 체계 확립
④ 모빌리티 전장화·수소화에 대응한 FTA 조항 확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