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구분

주요 내용

근거 및 출처

글로벌 철강 경기美·中 경기 둔화에도 조선·자동차·건설 수요 유지Bloomberg Steel Market 2025.8
공급 구조중국 중심 공급 과잉, 인도·베트남 생산 증가Reuters Metals 2025.7
한국 내 수입 의존자동차·조선용 고급강판 일부 해외 의존 (전체 17%)산업통상자원부 2025
대외 변수EU CBAM(탄소국경세)·中 저가재 유입WTO 통상리포트 2025

한국 철강 수입은 고급강판·특수강 중심으로 안정 유지 중이며, 글로벌 공급 과잉에 따른 단가 하락 압력과 탄소세 리스크가 병존하고 있습니다.

Ⅱ. 수입품목 현황 및 특성 분석

항목

세부 내용

데이터 출처

HS 코드72 (Iron and Steel)UN Comtrade
주요 세부품목7208(열연강판), 7210(도금강판), 7219(스테인리스강), 7225(합금강)관세청 무역통계
2024년 수입 규모187억 USD (전체 수입의 2.8%)KCS·OEC 2025
연평균 성장률(’20–’24)+3.9%산업연보
주요 수요처자동차·조선·건설·기계·에너지 설비 산업 

HS72 품목군은 철강 중간재 및 완제품의 복합 구조를 지니며, 탄소중립·고강도화 기술 수요에 따라 품목 다양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Ⅲ. 주요 수입국 및 공급망 특성

순위

수입국

비중(%)

주요 품목

특징 및 리스크

1중국41열연·냉연강판, 철근가격경쟁력 높음, 품질 편차 존재
2일본26고급 스테인리스강, 합금강자동차·조선용 고급강
3대만9도금강판·특수강전자소재 중심
4인도8열연·후판조선·건설용
5베트남5열연코일재가공제품 중심

상위 5개국이 전체 수입의 89% 이상을 점유하며,
중국 저가재 → 일본 고급강 → 인도·대만 균형형 공급구조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Ⅳ. 수입량 및 공급 안정성

구분

2023 Q3

2024 Q3

증감(%)

비고

열연강판 (톤)2,980,0003,130,000+5.0자동차·조선용 중심
냉연강판1,520,0001,570,000+3.3고급가전·기계산업
스테인리스강720,000780,000+8.3위생·화학설비용
합금강450,000470,000+4.4에너지·건설기계용
합계+5.3안정 성장

자동차·조선산업 회복세로 수입량이 증가 중이며, 고부가 특수강 중심으로 구조 전환 중입니다.

Ⅴ. 단가 및 가격 동향

품목

2024 Q1

2024 Q2

2024 Q3

변동(%)

열연강판 (USD/톤)770790805+1.9
냉연강판880910920+1.1
스테인리스강2,0402,1502,240+4.2
합금강1,3201,3401,355+1.1

스테인리스·합금강 중심으로 단가 상승, 중국산 저가재가 전체 평균 단가를 억제 중입니다.

Ⅵ. 계절별 패턴

분기

특징

수입 변동성 지수 (0–1)

Q1제철소 정기보수기0.43
Q2건설·조선 발주 증가기0.69
Q3가전·자동차용 강판 피크0.74
Q4연말 조정기0.56

Q2~Q3 수입 집중 구조로, 조선·자동차용 특수강 수요에 직접 연동됩니다.

Ⅶ. 관세·비관세 장벽 및 대체산업

항목

내용

관세율평균 3%, FTA 체결국 대부분 무관세
비관세EU CBAM(탄소국경세), 품질·규격검사 강화
국내 대체산업고강도강·무방향성 전기강판 국산화율 75%
향후 과제탄소저감 제철기술(수소환원제철) 실증 및 상용화

탄소 규제 대응형 수입전략수소환원제철 기술의 전환이 향후 산업경쟁력 핵심이 됩니다.

Ⅷ. ESG · Net Zero 연관도

지표

평가

해석

탄소배출 영향매우 높음제철 공정 자체가 고탄소 산업
ESG 리스크중~상원료 수입처의 환경기준 다양
Net Zero 기여수소환원제철 전환 시 개선 여지

철강산업은 탄소중립 전환의 핵심 대상으로, 수입강재의 탄소인증 요구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Ⅸ. 국가별 리스크 지수

수입국

정책·환경 리스크 (0–1)

물류 리스크 (0–1)

종합 Trust Index

중국0.450.320.63
일본0.220.250.81
대만0.270.290.77
인도0.360.330.69
베트남0.380.340.68

평균 Trust Index = 0.72 (양호)
일본·대만 중심의 고품질 공급망 안정성은 높으나, 중국 의존도는 여전히 리스크 요인입니다.

Ⅹ. 주요 바이어 및 산업 연결고리

산업

주요 기업

수입 품목

비고

철강 제조포스코, 현대제철슬래브·반제품수입 후 압연
자동차현대·기아·GM·르노코리아도금강판·스테인리스고급소재 중심
조선·플랜트삼성중공업, 현대중공업후판·열연대형 선박·기자재용
기계·가전LG전자, 한화, 두산냉연·합금강내식·정밀부품용

자동차(37%)·조선(29%)·기계(16%) 중심의 수요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Ⅺ. AI 무역지수 및 3개월 예측

지표

현재 (2025 Q3)

전분기 대비 (Δ%)

해석

ΔImport+2.7%▲0.8고급강 중심 수입 증가
ΔPrice+2.1%▲0.6스테인리스 가격 상승
ΔCountryShare+0.4%▲0.3일본·대만 비중 확대
Trust Index0.72=양호 유지
Forecast (3M)+3.2%Q4 건설·조선 발주 지속

요약: HS72 수입은 완만한 상승세 유지.
탄소규제 대응형 고급강·특수강 중심의 안정적 성장세로, 단가 상승은 제한적입니다.

Ⅻ.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구분

제언 내용

기대 효과

1수소환원제철 기술 실증 투자 확대탄소 감축 + 경쟁력 강화
2고급강 수입 대체용 R&D 세제지원국산화율 향상
3CBAM 대응을 위한 저탄소 인증제 도입EU시장 접근성 개선
4AI 무역예측모델 활용한 수입 조절재고효율화
5고급소재 산업-철강 연계정책 강화산업생태계 안정화
ⅩⅢ. 종합 결론

HS72 (철강) Imports Trade Index – 2025 Q3
ΔImport +2.7%, ΔPrice +2.1%, Trust 0.72, Forecast(3M) +3.2%
전망: 완만한 상승세 유지 (Positive-Neutral).
조선·자동차용 고급강 중심으로 수입 구조가 고도화되고 있으며,
탄소·CBAM 대응형 기술 및 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중장기 핵심 방향으로 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