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발·보쌈 외식업은 국내 야식 배달 카테고리의 핵심 업종으로, 2025년 시장 규모는 약 2.4조 원(+3.8% YoY) 수준.
프랜차이즈 점포 비중은 전체의 약 68%, 가맹 브랜드 수는 공정위 기준 280여 개, 점포 수는 8,400개 내외.
성숙기 시장임에도 ‘간편식화·배달화·소형화’ 전환으로 리브랜딩 경쟁이 진행 중.
브랜드 집중도: 상위 10개 브랜드(예: 본가, 족발의명가, 원할머니, 장충동왕족발 등)가 약 43% 시장점유.
구분 | 주요 항목 | 특징 |
|---|---|---|
| 원부자재 | 족발·보쌈 원육(돼지족·삼겹·앞다리), 소스·양념, 김치·쌈야채 | 육류 가격·물류 비중 높음 (원가의 60~65%) |
| 설비·기기 | 압력솥·수육기·절단기 | 소형 전기형 설비 확산 |
| 포장·물류 | 밀폐 용기, 배달용기, 냉장·진공포장 | 친환경 PP·종이소재 대체 가속 |
| IT·운영시스템 | POS, 스마트오더, 재고관리 | 배달앱 데이터 연동형 |
| 물류 | 육류 전문 B2B 도매 + 프랜차이즈 공동 물류 | 지역 거점형 냉장 배송망 중요 |
분야 | 주요 공급사/파트너 | 동향 |
|---|---|---|
| 육류·식자재 | 하림, 팜스토리, 서울식자재, 하이푸드 | 원육 직납 · 공동구매 활성화 |
| 소스·양념 | 청정원, 샘표, CJ 푸드서비스 | PB·OEM 확대 |
| 포장재 | 삼영EP, 네이처팩, 한일팩 | ESG 포장 제품 비중 ↑ (PLA·종이) |
| IT 시스템 | 더본시스템, 포스뱅크 | POS–배달–정산 통합화 |
| 물류 | 한진, CJ프레시웨이, 지역 육류 도매상 | 냉장·냉동 혼합 물류 |
트렌드 | 내용 |
|---|---|
| 배달 고착 | 배달앱 채널 점유율 83%, 야간 매출 비중 60% |
| 가성비 중심 | 대형 브랜드보다 중소 가맹 창업 수요 증가 |
| 1~2인 소비 | 소형 포장·반마리·하프메뉴 확산 |
| 건강식 이미지 전환 | 저염·저지방·한방족발 등 프리미엄 상품군 성장 |
| 리뷰 영향력 | 리뷰 응답·사진품질이 매출 변동률 30%까지 영향 |
AI 수요예측 : 요일·날씨·야간 주문패턴 기반 자동 조리·재고 예측 시스템 도입률 42%.
무인결제 POS : 야간 셀프결제·픽업존 확산 → 인건비 절감 20% 효과.
스마트 패키징 : 보온·냉장 이중 용기 + ESG 소재 적용 확대.
공동물류 플랫폼 : 프랜차이즈 본사 간 물류 공동화 협약 시도.
항목 | 평균 수치 | 비고 |
|---|---|---|
| 초기 창업 비용 | 1.0 ~ 1.6억 원 | 인테리어·설비 비중 65% |
| 평균 매출 | 월 3,800만 ~ 5,500만 원 | 입지·배달채널 영향 큼 |
| 순이익률 | 18 ~ 22% | 원육 가격·배달비 변수 |
| 회수기간 | 22 ~ 28개월 | 야간형 매장 수익성 높음 |
포장재 플라스틱 → 종이 전환 속도 ↑ (업계 평균 38% 적용).
폐기물 감축형 진공포장·리필포장 도입 브랜드 늘어남.
원육 조달 투명성 강화 (공급망 이력제 활성화).
가맹본사 ESG 공시 시범 사업 참여 브랜드 15개.
위험요소 | 영향 | 대응 |
|---|---|---|
| 원육 가격 상승 | 수익성 감소 | 장기계약·공동구매 |
| 배달 수수료 | 영업이익률 하락 | 픽업·멤버십 전환 |
| 브랜드 포화 | 신규 진입 리스크 | 로컬 브랜드·간편식 브랜드 전환 |
| 인건비 상승 | 야간 근로비 부담 | 무인·간편조리 도입 |
| 품질·위생 | CS·리뷰 리스크 | 정기 HACCP 점검·교육 |
지표 | Δ(증감률) | 해석 |
|---|---|---|
| 수요 | +4.7% | 야식·편의식 수요 지속 |
| 원육 단가 | +3.2% | 환율·곡물가 상승 반영 |
| 무인매장 도입률 | +17% | 야간형 매장 확대 |
| ESG 포장 전환율 | +25% | 정책·소비자 인식 상승 |
1️⃣ 내수 방향 – 배달 의존도 높지만 소형화·무인화로 수익성 보전 가능.
2️⃣ 본사 전략 – 원육 조달·물류 공동화 및 리베이트 투명성 강화 필수.
3️⃣ 공급자 기회 – 친환경 포장재·저염 양념 라인·간편조리 패키징 유망.
4️⃣ 정책·ESG – 지자체 친환경 외식 지원사업 (포장재 교체 보조금 등) 연계 필요.
한줄 요약:
족발·보쌈 프랜차이즈 시장은 “성숙 시장 속 소형화 + ESG 전환 + 무인야식형 모델”로 재편 중이며,
공급망 효율화와 포장·물류 혁신이 향후 2년간 경쟁력의 핵심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