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거시환경 및 통상 리스크 분석

해운·물류·조선 산업은 탄소중립·연료전환·조달시장 재편과 함께 FTA를 통한 조선·운항·부품 교역 자유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025~2026년 글로벌 선박 발주량은 LNG·암모니아 추진선 중심으로 증가하고, EU·UAE·ASEAN FTA가 기술·부품 교류를 확대시키고 있습니다.
한편 IMO2050 탈탄소 규제·CBAM·EEXI·CII 요건은 수출입·운항비용 상승 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리스크 요인

2025~2026 전망

영향도(1~5)

시사점

연료전환(탄소중립)LNG→암모니아·메탄올 대체 가속5친환경 선박·엔진 기술 확보 필요
CBAM조선기자재·철강 간접 영향4LCA·MRV 데이터 확보 필요
물류비용환율·운임 변동 완화세3계약형 운임제·FTA 조항 병행 활용
조선 인력부족고숙련 기술인력 수요 증가3해외 협력국 연계 인력교류
공급망 리스크원자재·기자재 의존도 여전4RCEP·CEPA 통한 부품 다변화 필요
Ⅱ. FTA 활용률 및 기업 실무 통계

조선·물류산업의 FTA 활용은 선박·기자재 관세인하, 조달시장 진입, 기술표준 상호인정에 집중됩니다.
EU·UAE·ASEAN은 선박부품·해양기술 협력을 확대하며, FTA 조항에 기반한 해양조달 허용·공공조달 상호개방이 실무 효과로 작용합니다.

분야

FTA 적용성

주요 애로요인

관리 포인트

조선기자재(HS8901/8407)RCEP·CEPA로 관세 절감CBAM 간접영향MRV·탄소인증 준비
해운서비스FTA 서비스시장 개방조항 활용외항운송 제한RCEP 내 조항 적극 활용
항만·물류설비(HS8479/7308)CEPA·EUFTA 적용안전·품질 인증 상이ISO·EN 인증 병행
해양엔지니어링기술조항·조달 확대현지 입찰 접근 한계CEPA 조달 매뉴얼 활용
Ⅲ. 국가별 관세·비관세 비교 매트릭스

조선·물류 관련 교역은 고관세 품목이 적지만, 조달규범·안전·환경규제가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FTA 활용 시 조달 인증·기술표준 상호인정으로 진입비용 절감 효과가 큽니다.

시장

주요 품목

MFN(기본세율)

FTA 적용 시

비관세장벽

코멘트

EU선박·조선기자재2~5%0%CBAM·EN 규격·안전기준탄소감축형 기자재 인증 필요
UAE항만·EPC 기자재5~10%CEPA로 단계적 철폐현지조달 요건EPC·항만프로젝트 확대
ASEAN선박부품·물류설비3~8%RCEP 누적 활용통관·표준 절차생산거점·조립유리
미국해양엔지니어링 장비0~4%FTA 내 저율Buy America 제한현지 합작법인 필수화
Ⅳ. ESG·CBAM·IMO 규제 영향

IMO2050, CBAM, ESG 조달 규범은 조선·물류산업 전반의 수출 구조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특히 EU·UAE는 조선·물류기업에 LCA·탄소배출·ESG 리스크 관리보고서 제출을 요구합니다.

제도/이슈

핵심 요구

영향도(1~5)

대응

IMO20502050년까지 탄소중립 추진5친환경선박·저탄소연료 적용
EEXI·CII선박효율지수 의무화5엔진·운항데이터 모니터링
CBAM기자재·철강 간접 영향4LCA·MRV 구축
ESG조달환경성적·노동·안전 기준4ESG 인증·RE100 대응
순환경제선박 재활용·폐기물 규제3그린조선소·재활용 인증 확보
Ⅴ. 투자·공급망 이전 시나리오

한국: LNG·암모니아 추진선·디지털조선소 중심의 기술 리더십 유지

UAE·사우디: CEPA 이후 항만·EPC·해양플랜트 투자 확대

EU: CBAM 대응형 조선기술·탈탄소 해운협력 확대

ASEAN: 중형선박·기자재 생산거점화

미국: 해상풍력·조선기술 이전 협력 강화

Ⅵ. AI 기반 3개월 수출입 예측

글로벌 발주 동향(β), 뉴스감성(α), 섹터심리(λ) 통합.
2025년 4분기 조선·물류산업은 발주 증가와 CEPA 효과로 완만한 상승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변수

Δ(%) 또는 지수

해석

ΔExport_now+2.5LNG·암모니아 추진선 수출 증가
ΔImport_now+1.4기자재·부품 수입 증가
ΔPrice_now+0.6철강·운임 변동 반영
ΔSignal_now+0.034긍정 뉴스·발주심리 개선
ΔFTAEffect+0.33CEPA·RCEP 누적효과
Forecast_3M+0.563개월 완만한 상승 전망

산식(요약): Forecast_3M = 0.5·ΔSignal + 0.3·ΔFTAEffect + 0.2·ΔPrice

Ⅶ. 정책 제언 및 제도 개선 로드맵

분야

제언

실행 주체

기대 효과

FTA 활용CEPA·EUFTA 내 조선기자재 조항 확대통상본부·산업부수출비용 절감·시장 확장
CBAM 대응LCA·MRV·탄소저감 기술 플랫폼 구축환경부·해수부EU 수출 지속성 확보
ESG·IMO선박효율·ESG 인증 패스트트랙해양수산부·조선협회발주 경쟁력 강화
해양기술협력한-UAE·한EU 해양기술펀드 조성KOTRA·산은EPC·조선 클러스터화
물류·항만RCEP 기반 스마트항만 프로젝트 확대국토부·해수부수출입 물류 효율 향상
Ⅷ. 결론 요약

FTA는 조선·물류산업의 기술·조달 접근성 향상 및 CBAM 대응 비용 절감에 기여.

Forecast_3M: +0.56 — LNG·암모니아 선박 중심의 수출 성장세 지속.

권장 전략: ① CEPA·RCEP 누적활용 ② CBAM·IMO 대응체계 구축 ③ ESG·에너지효율 선박 확대 ④ 항만·EPC 협력 강화.